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성자의 국가표준 개발과 미래 전망

전문가 제언
○ 국가표준의 분야 확대를 위해 2000년도에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연구를 수행한 적이 있다. 1998년부터 수행하여 2000년까지 연구한 것으로서 표준분동의 자화율 시험, 초음파 음장의 공간적 음향세기 분포측정, 습도영역 확장의 4개 분야와 장거리 측정 표준, 표준용액의 전기전도도 측정의 2개 세부 분야와 마이크로폰 자유음장 감도표준, 위상각 표준, 교류자속 밀도표준, 중성자율, 적외선 분광복사휘도, LC/MS를 이용한 유기물 질량 분석의 6개 세부 분야로 총 12개 세부 분야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 그리고 국가표준의 유지 향상을 위한 연구가 연세대, 표준과학연구원, 과학기술연구원 등 대학교와 연구소가 공동으로 산업기술 수준의 척도가 되는 측정 기반기술인 국가 측정표준을 확립하고 효과적으로 유지하며, 국내외 연구동향 및 국내 산업체의 요구를 고려하여 국가 측정 표준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관련 산업체에 필요한 측정 분야에서 기반이 되는 각종 기본연구를 위한 수행이었다.

○ 여기서는 역학 분야, 전자기 분야, 양자연구 분야, 산업측정 분야의 총 5개의 표준연구 분야로 구분하여 각 분야별로 국가 측정표준의 확립 유지와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개발연구를 종합적으로 수행하였다. 국가표준의 대표적인 기관으로는 미국에서 1901년에 설립된 국립 NIST가 있다. NIST는 미국 상무성 기술국 내의 연합기관으로 약 3천여 명의 과학자, 엔지니어, 기술자, 지원관리 인력이 있으며 객원 연구원도 약 2천여 명이나 된다.

○ NIST는 전 세계와 제휴를 맺고 있는 센터의 약 2천여 명의 제조 전문가 및 직원과 협력하고 있다. NIST는 생산성 향상과 무역 촉진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측정, 표준, 기술 개발과 촉진에 대한 사명을 가지고 측정, 합법적인 기술, 가치 등을 국가에 제공하는 데에서 국제적인 선두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한국표준연구원 등 일부 연구기관이 이러한 역할의 일부만을 수행하고 있는데 향후 이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Hideki Harano and Tetsuro Matsumo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79(3)
잡지명
應用物理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30~234
분석자
오*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