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지속 가능한 에너지 개발 - 현황과 전망

전문가 제언
○ 본보고서는 세계의 석유, 석탄, 천연가스의 연간 생산량 대비 자원비율을 평가하고, 원자력과 재생에너지의 현황과 미래를 전망하고 있다. 또한 경제적, 환경적 및 사회적 영향이 고려된 지속 가능한 개발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석유, 석탄 및 가스의 연간 생산량 대비 자원비율은 각각 40, 60, 120으로 보고 있다. 유한한 자원의 보존과 효율적인 활용이 매우 중요함을 알려준다.

○ 지난 3년간(2006-2008)의 세계의 일차에너지 사용량은 473EJ이며 이 중에서 전력의 비중은 38%이었다. 2008년 기준으로 세계의 발전용량은 4.4TWe이며 연간 전력 생산량은 20.2PWh(73.2EJ)이다. 전원에너지의 66%는 이산화탄소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화력발전이며, 수력과 원자력은 각각 18% 및 14%를 차지하고 있다. 세계 인구 65억 명 중 19억 명은 아직까지 편리한 에너지인 전력을 공급받지 못하고 있다.

○ 에너지 분야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에너지자원의 보존과 사용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한 연구개발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이산화탄소의 감축을 위해서는 원자력과 재생에너지 개발이 확대되어야 한다. 원자력 확대는 가장 정책적이고 현실적인 대안이지만 방사성폐기물의 처리처분 해결이 선결문제이다. 또한 우라늄자원의 효율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제4세대 원전의 개발에 집중해야할 것이다. 그동안 많은 진전이 이루어진 풍력, 태양에너지 및 바이오에너지의 이용기술에 대한 투자도 더욱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 에너지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는 꾸준하게 원전 확대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한편으로 신재생에너지의 이용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최근에 제5차 전력개발계획을 확정하기 위해 공청회를 개최한 바 있는데 저탄소 녹색성장의 기조아래 원자력의 비중을 확대하는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이 계획에 따르면 발전량 기준으로 원자력의 비중을 현재의 32.8%에서 2024년에는 48.5%로, 재생에너지는 1.8%에서 8.9%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세계의 미래를 위한 행보와도 어느 정도 일치한다고 본다. 본보고서가 우리 실정에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저자
Noam Lio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35
잡지명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3976~3994
분석자
이*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