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열가소성수지의 난연화 조성, 공정 및 가공품

전문가 제언
○ 본 발명은 열가소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PBT, PET)의 난연 첨가제 조성, 이를 사용한 가공제품과 가공공정에 대한 것이다. 난연제는 비할로겐계인 인계 및 질소계 제품을 조합하였으며, UL 94 난연등급 V-0에 합격할 수 있다. 그러면서도 다른 비할로겐계 난연제에 비하여 첨가량을 적게 사용함은 물론 충격강도를 원상대로 유지하고 열변형온도를 별로 낮추지 않는 난연제 조성이다.

○ 본 발명의 청구항은 3개의 독립항과 23개의 청구사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발명의 핵심은 3가지의 난연제, 즉 hydroquinone bis-(diphenyl phosphate), aluminum methyl methylphosphonate 및 melamine cyanurate를 조합하여 난연 시너지를 얻는 것과 충격보강제로 ethylene-acrylic ester-glycidyl methacrylate를 발굴한데 있다. 난연제 3종은 모두 출원인이면서 난연제 종합 메이커인 ICL IP 제품이며, 충격보강제는 제3자인 Arkem의 상품이다.

○ 할로겐계 난연제가 환경문제가 되면서 국내에서도 인계 및 질소계 난연제를 개발하는 노력이 활발하다. 중소기업과 연구기관의 협력사업으로 개발된 난연제는 (주)유니버샬켐텍과 한국화학연구원의 멜라민계 난연제(멜라민시아누레이트, 멜라민포스페이트)의 “상업적 생산기술 확보 및 기업화”를 들 수 있다. 대기업으로는 제일모직과 코오롱에서 다른 난연제를 상업화 하였다. 본 발명의 제품은 국내에서의 연구대상 제품과는 중복되지 않으므로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 난연제 산업은 이미 성숙기의 산업으로 국내외 모두 시장의 집중도가 높고 경쟁이 치열하다. 국내 난연제 수요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할 만큼 열악한 상황이지만 새로운 사회적 니즈에 부합하는 신규 난연제의 개발에 있어서는 비교적 기술격차의 폭도 적고 경쟁상황이나 시장의 집중도가 낮은 편이다. 따라서 제품 구성과 확장 등 전략적 기술개발과 적극적 마케팅 여하에 따라 국내 난연제 산업도 경쟁적 우위를 점유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저자
ICL IP AMERICA INC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WO20100085404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0
분석자
이*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