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세라믹 필터의 응용과 전망

전문가 제언
○ 다공성 세라믹스 재료는 분리, 분산, 흡수 및 유체접촉 기능을 이용하여 단열재, 흡음제, 경량벽재와 흡수재, 탈취재 등의 생활용품 이외에 배기가스 정화용 필터 등의 환경 분야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기공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제어하여 의약, 바이오, 반도체, 신소재, 촉매, 담체 등의 첨단 분야에 응용이 확대될 전망이다.

○ 기타 허니콤 세라믹스는 오래 전부터 열교환기, 축열체 또는 촉매로 개발이 진행되었다. 허니콤은 셀 구조와 재질에 따라서 특성이 변화되므로 제조를 위해서는 설계가 매우 중요하다. 본래 육각형 셀이 일반적이나 사각, 삼각 원형 등의 셀이 균일하게 분포된 일체물(monolith)로 되었다.

○ 사용되는 재질은 cordierite, mullite, alumina, spodumene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서 선택한다. 내열충격성이 필요한 배기가스 정화용은 열팽창계수가 낮은 cordierite가 사용되며, 화학적 안정성과 기계적 강도가 요구되는 내산성과 강도가 우수한 mullite와 SiC 등이 사용된다.

○ 제올라이트는 천연광물의 일종으로 특이한 흡착분리와 이온교환능력 등을 가지고 있어, 공업적으로 촉매나 흡착제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환경오염 제거에는 필수적인 재료이나 많은 제품이 수입되고 있다. 특히 대부분의 합성공정이 특허권에 묶여있어 이를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 세라믹 다공체는 응용범위가 넓은 제품이며, 국내에서도 새로운 나노다공재료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분야는 대표적인 환경 분야로 이의 적용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시장으로는 허니콤 담체, 디젤용 허니콤필터, 멤브레인 필터 등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국내 기술은 선진국에 비해서 낮은 수준이며, 연구는 여러 분야가 협력을 하여야 개발이 가능한 분야이므로 산·학·연 공동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저자
Masahiro Wakid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0
권(호)
45(10)
잡지명
セラミックス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796~800
분석자
김*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