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디젤 산업의 정책적 및 사회경제적 최근 동향과 장래 방향

전문가 제언
○ 기존 석유디젤을 대체할 가능성이 높은 바이오디젤 산업이 과당경쟁과 높은 원가로 인하여 각국 정부의 지원 없이는 독자적으로 성장하기에 아직 한계가 있다. 이 글은 세계 주요 바이오디젤 생산국에서의 바이오디젤 산업을 지배하는 정부정책과 환경관련 입법 동향과 문제점을 개관하였으며, 장래 바이오디젤이 나갈 방향을 전망하였다. 또 바이오디젤의 수급 현황과 원료 현황을 요약하였다.

○ 우리나라의 1세대 바이오디젤 생산기술은 확보된 것으로 보인다. 최근 한국화학연구원의 바이오디젤 고체촉매 기술로 저급 바이오오일을 활용하는 바이오디젤 파일럿 플랜트가 베트남에서 준공되었다. 한편 목질계를 원료로 하는 2세대 기술은 여러 곳에서 기초연구를 실시하였고 또 진행 중인 것도 있다. 에너지관리공단 내 신재생에너지센터의 평가에 의하면 기반기술 확립 단계이다.

○ 현재 우리나라의 바이오디젤은 중소업체 체제로 생산되고 있다. 수요에 비하여 공급규모는 과잉이고 업체는 난립되어 있다. 원료는 폐식용유, 대두유, 유채유 중심이다. 바이오디젤에 대해 교통세를 면제해 주고, 기존 석유디젤과의 혼합비율은 2%로써 권장사항이다. 정부는 교통세는 단계적으로 폐지하고, 혼합비율은 상향 의무화할 방침이다.

○ 바이오디젤의 원가 중 원료비가 80% 내외인데, 석유디젤보다 경쟁력이 열세인 주요인이다. 우리나라는 바이오디젤뿐 아니라 다른 바이오에너지도 산업화하자면 원료 공급에 한계가 있다. 저렴한 원료를 해외에서 확보하는 전략이 바람직하다. 해외 농장사업을 통한 바이오디젤 원료 확보는 성공 가능성이 아주 크며 수십 년 동안 그 효과가 지속될 것인 만큼 해외 유전개발지원에 버금가는 정부지원이 타당할 것이다.

○ 2세대 바이오연료인 목질계 바이오에탄올도 우리나라에서는 목질계 섬유소 자원이 충분치 못하고 현재 생산원가도 너무 높아 상업화에는 어려움이 예상된다. 최근 해조류를 이용한 에탄올 생산 파일럿 공장 및 해외 어장확보도 추진 중인바 우리 실정에 적합한 방향이라 생각한다.
저자
J.-H. Ng, Hoon Kiat Ng, S. Ga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12
잡지명
Clean Technologies and Environmental Polic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13~238
분석자
이*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