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선박의 보수용접

전문가 제언
○보수용접부에 대한 누설검사는 시험체의 내부와 외부에 압력차를 만들어 유체가 결함 등을 통해 흘러 들어가거나 나오는 것을 감지하는 방법으로 압력용기, 배관 등에 적용한다. 이와 같은 구조물에 대한 보수용접공정에서 비파괴검사를 통해 보수용접부의 결함을 조기에 발견하고 조치하면 보수작업의 공수와 시간을 절약하게 되어 원가의 절감효과를 가져온다.

○ 건조한지 오래된 선박의 러더혼 재질과 같은 저합금 고장력강은 최근에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TMCP 강재에 비해 용접열영향부의 탄소당량이 높고 경화능이 크다. 이러한 재료들을 보수용접할 때 용접부의 구속응력, 경화된 조직과 함께 수소가 존재하게 되면 보수용접 열영향부에 저온균열(cold cracking)과 지연균열(delayd cracking)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보수용접절차서를 작성할 때에는 이에 같은 점을 충분히 고려하여 용접결함이 발생하지 않는 최적의 보수용접절차를 도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 용접부의 경화조직 생성과 수소유기에 의한 저온균열이 발생하기 쉬운 야외현장에서 러더혼 부품을 용접으로 보수하는 경우에는 보수용접시공절차에 따라 최적의 예열온도와 층간온도를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 피복아크용접부는 가스보호가 불충분하거나 기름과 습기 등으로 오염되어 있으면 수소유기에 의한 용접저온균열과 지연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반드시 저수소계 용접봉을 건조하여 사용해야 하며 용접모재 표면에서 유지, 기름, 습기, 녹, 도료 등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 AWS E7018 철분저수소계 용접봉으로 제작한 용접부의 수소농도는 용접봉 제조업체, 포장상태, 보관상태, 대기중 노출상태, 그리고 건조상태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저자
Uwe W. Aschemeie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0
권(호)
89(5)
잡지명
Welding Jour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38~44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