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올레핀 폴리머의 표면 활성화를 위한 화염처리의 기초
- 전문가 제언
-
○ 화염처리는 자동차 산업, 포장 산업, 프린팅 산업, 유리 산업, 코팅 산업, 접착 산업, 압출 산업, 라미네이팅 산업, 의료/제약 산업등 넓은 분야에 적용되는 표면처리/개질방법의 하나이다. 이 처리는 복잡한 프로세스인 연소현상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이해의 부족으로 제대로 사용되지 못 하였다. 본 논문에서 화염처리의 기본적 원리의 이해의 필요성을 잘 지적하였으며 또한 기본원리를 잘 제시하였다.
○ 우리나라에서는 플라즈마 처리에 대해서는 연구결과가 나와 있다. 단국대학교의 황승노 등이 (1997) 친수성 표면개질에 미치는 O2/N2 플라즈마의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그러나 화염처리 장치를 폴리머 인쇄나 도장 등에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기본 원리를 이해하여 프로세스를 개선시키려는 노력은 별로 없으며 관련논문도 찾아 볼 수 없다. 화염처리가 널리 사용되므로 인해 그 시장이 결코 작지않은 만큼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최적화하기 위하여 기초연구가 꼭 필요할 것이다.
○ 일반적으로 생산성을 높이고 균일한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작업방법 및 조건의 표준화, 및 자동화가 필요하다. 플라즈마 처리와 같은 경우 전기를 사용하는 프로세스이므로 작동 파라미터의 제어가 용이하다. 그러나 연소를 통한 화염처리의 경우 제어 파라미터가 매우 많아서 자동화가 쉽지 않다. 표준화 및 자동화를 위한 제어 파라미터와 산출물 품질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폴리머 특히 폴리올레핀 폴리머 표면처리방법으로 코로나 방전과 화염처리가 있다. 코로나 처리 방법을 선호하는 사용자들은 화염처리의 문제점으로 제품의 수축, 변형 등의 손상과 화재의 위험성을 든다. 이 문제들의 해결을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저자
- Stefano Farris, Simone Pozzoli , Paolo Biagioni, Lamberto Duo , Stefano Mancinelli, Luciano Piergiovann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51
- 잡지명
- Polymer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591~3605
- 분석자
- 김*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