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원자력발전소의 보안활동 종합평가

전문가 제언
○ 일본이 시행하고 있는 원자력발전소의 보안활동에 대한 종합평가제도는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의 원자력 감시절차(ROP: Reactor Oversight Process)를 참고로 하여 제정되었다.

○ 이러한 종합평가는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검사와 심사과정 등에서 얻은 정보나 또흔 법령으로 요구되고 있는 보고사항 등에서 얻게 된 폭넓은 정보를 대상으로 사업자의 보안활동 상황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보안활동상의 약점이나 개선사항 등과 같은 앞으로의 과제를 추출하고, 이를 다음의 검사 및 심사계획에 활용하여 사업자의 안전 확보 수준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미국의 ROP는 3개의 주요 성능 분야 즉, 원자로 안전(reactor safety), 방사선 안전(radiation safety) 및 보안(safeguards)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성능 분야는 설비 운전의 안전 측면을 반영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사건의 시작(initiating events), 시스템의 완화(mitigating systems), 방벽의 건전성(barrier integrity), 비상사태의 대처를 위한 준비(emergency preparedness), 공중대중의 방사선 안전(public radiation safety), 종사자의 방사선 안전(occupational radiation safety) 및 보안대책(physical protection)으로 구성되어 있다.

○ NRC의 안전 임무는 각 구성요소에 대한 사업자의 성능 수행과 관련된 만족도에 달려 있고, 각 요소에는 검사절차서(inspection procedures)와 성능 지표(performance indicators)가 있으며, 이 절차서와 지표를 이용하여 목표의 달성여부를 판단하도록 되어 있다.

○ 우리나라는 정부로부터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에 대하여 위임을 받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규제검사를 수행하고 있다. 한편, 원자력발전소의 운영자인 한국전력공사(한국원수력원자력주식회사)도 안전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어 안전 운전을 위한 정부의 모든 검사에 잘 협력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우리나라의 원자력발전소 가동률은 세계 최고를 유지하고 있다.
저자
S. Nakanis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56(11)
잡지명
原子力EYE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8~33
분석자
이*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