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 인테그린:체외 배양과 세포치료에 적용
- 전문가 제언
-
○ 파킨슨, 황반병성, 제1형 당뇨와 같은 퇴행성 질환에 성체줄기세포 혹은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하려는 시도가 전개되고 있는데 지금은 동질성의 세포로 분화시킬 수 있고 특정한 표면에서만 발달하여 유지되며 최종적인 분화가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생체에서 복잡한 세포환경이 그대로 재현될 수 있어야만 치료에 성공할 수가 있다.
○ 실제로 생체 내에서 세포의 매트릭스의 환경은 그 발생과정에 인테그린(integrin)신호와 관견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인테그린은 18 α 서브유닛 중에 하나와 8 β 서브유닛에 하나로 된 heterodimers로 만들어진 24 개의 인테그린이 알려져 있다. 이 인테그린이 세포와 세포의 부착, 성장인자의 수용체, 세포의 이동, 분화, 증식과 생존의 신호를 매개하는 작용을 한다.
○ 이 리뷰에서는 사람의 배아줄기세포에서 인테그린의 신호경로와 기능에 대해서 요약하고 있으며 인테그린의 발현이 특정세포의 직계 발달에 중요하며 이러한 인테그린의 발현 프로파일을 이용해서 줄기세포를 분화시켜 치료에 이용할 수 있는지도 고려하고 있다. 그리고 사람의 배아줄기세포에서 지금까지 알려진 인테그린 발현 프로파일과 다른 성체줄기세포인 간엽줄기세포, 조혈모세포, 신경줄기세포에 대해서 검토하고 있다. 세포외기질 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방법과 인테그린이 매개하는 세포내 반응을 연구하는 기술에 대해서도 검토 하고 있다.
○ 줄기세포연구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으며 미국Geron사가 급성 척추손상치료에 사람의 배아줄기세포를 사용하는 임상 1상을 FDA가 승인인 하바도 있다. 이 리뷰는 인테그린 신호를 매개로 세포기질의 특상과 줄기세포의 기능을 조절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는 줄기세포의 생물학과 조직공학의 융합으로써 줄기세포를 임상에 이용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자
- Andrew B.J. Prowse, Fenny Chong, Peter P. Gray, Trent P. Munr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1
- 권(호)
- 6
- 잡지명
- Stem Cell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12
- 분석자
- 강*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