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냉매유량 가변형 공조시스템 산업 현황과 전망
- 전문가 제언
-
○ 냉매유량가변형(variable refrigerant flow; VRF) 공조 시스템은 종래의 에어컨(실외기 하나에 실내기를 연결하는 형식이나, 하나의 실외기에 복수의 실내기를 연결하는 형식)의 단점을 보완한 것이다. 이에는 ①에너지절감, ②간편한 설치와 설치 면적 감소, ③개별 제어, ④유지보수의 간편성, ⑤활용의 다양성, ⑥디자인의 유연성 등과 같은 여러 장점이 있어서 사무실, 호텔, 상점, 집합 건물 등 냉난방 부하 패턴이 다양한 곳에 유용하다.
○ 유럽은 한냉지에 속하는 지역이 많아서 종래의 히트펌프 시장은 난방부하의 일부를 담당하는 위치였다. 즉, 난방을 히트펌프만으로 시행하려는 시도는 적고, 전기 가열기나 석유 보일러 등에 의한 난방이 기본을 이루면서 에너지절감화나 CO2 배출 억제를 추진하기 위하여 난방 시스템에 히트펌프를 추가하는 방안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VRF 의 기술 개발과 발전으로 이를 히트펌프에 적용시킴으로써 상황이 크게 바뀌고 있다.
○ 유럽연합(EU)은 우리나라와 자유무역협정(FTA: Free Trade Agreement)을 체결한 국가 연합이다. 한편 유럽 대륙의 경우 지금까지는 비교적 한냉지(cold climate region)였던 지역에서도 이상 고온이 발생되면서 이 대륙의 공기조화 시장이 급속히 커지고 있다. FTA는 특정국가간에 배타적인 무역특혜를 서로 부여하는 협정으로서 가장 느슨한 형태의 지역 경제통합 형태이다.
○ 따라서 한-EU의 FTA 하에서 우리나라가 공조 설비의 수출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현지의 공조관련 규격과 규정 및 규제에 관한 정보를 정확히 수집 분석하고, 유럽지역에서 대단히 유효하다고 판단되는 VRF 공조 시스템 과 같은 신기술을 적극 개발?개선하여 시장을 개척하여야 한다.
- 저자
- MATSUURA T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0
- 권(호)
- 85(987)
- 잡지명
- 冷凍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29~35
- 분석자
- 조*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