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최근의 천연가스 복합발전 보급과 기술개발 동향 및 장래전망

전문가 제언

○ 최근 일본에선 천연가스와 태양광발전 및 연료전지를 이용한 복합발전이 급속도로 진전되고 있다. 이 문헌은 일본의 산업용과 민생용 복합발전의 보급상황과 기술개발동향 및 앞으로의 전망을 소개하고 있다.

○ 지구온난화의 가장 큰 주범이 되는 화석연료는 세계의 1차 에너지사용량 중 80%이상을 점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천연가스는 화석연료이지만 가장 저탄소의 연료이기 때문에 공업용분야에선 천연가스로 전환하는 경우가 많다. 일본은 2020년까지 25%의 CO2삭감목표를 달성하기위한 일환으로 천연가스복합발전의 도입을 촉진시키고 있으며 앞으로 30년간 매년 평균 2.4%의 천연가스소비량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 이를 위해 일본은 2010년 6월에 공표한 정부의 “에너지기본계획”으로 천연가스 복합발전의 도입촉진을 위하여 1kW급 가정용을 위시하여 수MW급 산업용 및 지역단위까지의 복합발전을 적극 장려하고 있다. 그리하여 천연가스 복합발전을 2020년까진 현재보다 50%가 증가한 800만kW, 2030년까진 1,100만kW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특히 1kW급을 중심으로 고체고분자형 연료전지가 개발이 되고 2005년부터 한정적으로 시판이 되어서 2009년 3월말현재 1,379대가 운전을 개시하였다. 고체산화물형 연료전지(SOFC)에 있어선 발전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수kW~수백kW급의 개발이 추진되어서 현재는 시험기의 운전 검증단계로 되어있다.

○ 우리나라의 천연가스 도입량은 2009년도에 약3천만t에 달하고 있으며 그중에서 2010년 7월 22일에 조기가동에 들어간 영월천연가스발전소가 설비용량 848MW로서 하루 최대 2,000만kWh를 생산하고 있으나 산업용이나 가정용으로 천연가스를 이용한 복합발전은 아직 크게 보급이 안 되고 있는 실정이다. 저탄소화실현을 위한 정부정책의 일환으로 우리나라도 적극적으로 천연가스복합발전의 보급에 역점을 두어야할 것으로 생각한다.

저자
K ARAK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62(9)
잡지명
省エネルギ―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3~27
분석자
차*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