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물과 폐수 처리공정 및 시스템

전문가 제언
○ 폐수 처리는 폐수 중에 들어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유해성을 제거함으로써 폐수가 유입되는 하천이나 바다에 미치는 악영향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폐수처리 목표는 각 처리공정에 부여되는 BOD, COD, SS, N, P, 유기 및 무기물질 등을 폐수의 배출허용기준 이하로 나추는 것이다.

○ 폐수 처리법에는 스크린, 여과, 침전, 증류법, 증발법, 자선법 등의 물리적 처리가 있고, 중화법, 산화환원법, 분해, 응집, 흡착, 부상, 추출, 이온교환, Stripping, 연소/소각법 등 화학적 처리가 있다. 그리고 활성슬러지법, 살수여과상법, 산화지법, 회전원판법, 접촉산화법 등 호기성 생물처리와 소화법(메탄발효법), 부패조, 등 혐기성 생물처리가 있다.

○ 이 특허는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과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의 개념을 폐수 처리단계에 도입했다. BOD는 현존하는 유기 물질을 생화학적으로 안정화하는데 필요한 산소량을 지시하는 변수로 잘 알려져 있다. 미생물의 수적인 성장을 증식시키기 위해 산소를 제공함으로써 미생물은 대부분의 폐수중의 유기 물질과 산소를 소모한다. 또한, COD는 물의 오염도를 나타내는 기준으로, 유기물 등의 오염 물질을 산화제로 산화할 때 필요한 산소량으로 나타낸다.

○ 재래식 폐수처리 시스템은 1차 처리로 고체를 침전하고 난 후, 2차 처리로 폭기(aeration)를 통하여 박테리아 활동을 증가사키고 유기 고형물을 분산시킨다. 그러나 이 특허에서는 2차 처리 없이 폐수와 산화를 직접 혼합함으로서 상당히 간편하고 악취발생을 감소시킨다.

○ 오염 지하수 실태 파악을 위하여 환경부가 2006년에 전국의 오염 우려지역에 설치한 수질측정망 1,602개와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는 2,380개의 지하수를 분석했다.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모두 144개소(3.7%)가 수질기준을 초과했다. 이 중 발암성 물질로 간장과 신장에 영향을 미치는 트리클로로에틸렌(TCE)과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이 각각 33곳과 14곳에서 기준치를 초과했다. 참고로, 발암물질인 TCE와 PCE는 공단지역에서 주로 많이 검출된다.
저자
B. L. Koh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WO20100104477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8
분석자
유*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