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공기조화 시장 추이와 전망
- 전문가 제언
-
○ 냉난방 공기조화 기술과 환경은 국가에 따라 다르며, 이에 의한 쾌적성의 추구 방향은 민족성과 생활 관습 및 경제 수준에 따라 다르게 발전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세계 각 지역의 공기조화 관련기기의 개발이나 이용 상황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우선 해당국가의 국가표준규격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 우리나라의 국가 산업표준규격(KS; Korea industrial Standard) 중에서 근년에 이르러 가장 많은 변화를 나타낸 분야는 냉난방과 공기조화 관련 기술과 활용에 관련된 부문이다. 그 원인은 우리 민족의 생활관습에 우리나라의 생활수준 향상과 지구온난화 방지에 따른 규격의 국제화 정책을 급속히 적용한 것 때문이다.
○ 예를 들면 얼마 전까지만 해도 우리나라의 냉난방 기술에 관련된 각종 단체 규격과 규정의 모태가 되었던 KS F 6310(주택용 냉난방 유닛), KS F 2276(동 평가시험 방법)이 2002년과 2003년 연말에 각각 폐지되고, 이들 규격은 국제표준화기구(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에 준하는 KS B ISO 5149, KS B ISO 3149, KS B ISO 3150, KS F 2291, KS B 8051, KS B 8052, KS B 8053, KS B 8207, KS B 8208 등 여러 규격으로 세밀히 분산하여 다시 규정하고 있다.
○ 냉난방과 공기조화 기술의 개발과 응용에는 쾌적 환경의 추구라는 원래의 목적 이외에 온난화방지, 에너지 절감, CO2 삭감 등과 같은 범지구적 과제가 주어지고 있다. 생활수준의 향상과 함께 공조 기기의 급격한 도입 증가에 의하여 생기는 글로벌 생활환경을 순화시키기 위해서는 세계의 공기조화 시장의 변화를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 이와 관련한 중 단기 해결책으로 전문가들은 냉난방의 효율 및 성적계수를 올릴 수 있는 히트펌프 기술에 대한 관심 등이 효과적 방안일 것이라 보고 있다. 우리나라 KS 규격의 신규 인증과 폐기에 관련된 현황에서도 이러한 상황을 읽을 수 있다.
- 저자
- YOSHIMOTO T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0
- 권(호)
- 85(987)
- 잡지명
- 冷凍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4~8
- 분석자
- 조*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