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성원유 질소화합물의 분리정제
- 전문가 제언
-
○ 산업의 발달, 화석자원의 고갈 등에 따라 에너지의 수급이 심각한 위기로 다가왔다고 인식된 것도 오래되었다. 수요면에서는 에너지 소비효율의 개선, 운송부분의 에너지 차세대화가 주요 요소이다. 공급면에서는 원자력 이용, 신에너지의 도입 촉진, 석유의존도의 저감이 큰 요소이다.
○ 화석자원 고갈의 상황 하에서 자원량이 상대적으로 풍부한 비재래형 석유, 석탄, 바이오매스 등으로부터 제조되는 합성원유가 주목을 받고 있다. 향후 그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질 것으로 생각된다. 대상이 되는 합성원유는 오일쉘(oil shell)의 건류유(shell oil), 석탄의 직접 액화유, 그리고 오일샌드 비투멘(bitumen)의 열분해유 등이다.
○ 석유에 의존하는 에너지 수급 비율은 여전히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수요는 점점 저하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질이 낮은 원료로부터 유용한 성분으로 전환시키는 기술은 가장 필요한 기술의 하나이다. 특히 에틸렌이나 프로필렌으로의 전환이 요구되기 때문에 중질유로부터 프로필렌을 생산하는 방법이 여러 가지 제안되어 왔다. 수송용 연료에 요구되는 품질은 세계적으로 점점 엄격해져 가고 있다. 따라서 합성원유의 경제성 향상과 공급량 확대를 위해서는 제조기술의 발전과 함께 고도한 정제기술의 향상이 필요하다.
○ 헤테로원자, 방향족을 많이 함유하는 합성원유를 청정 수송용 연료로 전환할 목적으로 질소화합물의 분리 처리와 수소화 정제의 2단계 처리가 검토되어 왔다. 합성석유는 에너지 안정공급의 관점에서, 또한 석유화학 원료를 생성하는 자원으로서 유용하다. 그 가운데 중질의 값싼 원료를 활용하는 기술로서 접촉분해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수요구조의 변화와 함께 목적 생성물은 변화해 가고 있기 때문에 기술개발, 혁신이 향후 크게 기대되고 있다.
○ 화석에너지 자원량이 적은 한국의 경우 원료를 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처리시설 및 다운스트림의 규모는 세계적 수준이다. 보다 높은 산업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관련 기술개발이 필수적이다.
- 저자
- Yoshikazu Sugimot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33(9)
- 잡지명
- ペトロテック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669~673
- 분석자
- 김*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