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테리아 Collimonas 속의 빈영양 토양환경에서 생존전략
- 전문가 제언
-
○ 박테리아 Collimonas 속 멤버의 생물 및 생태학에 관한 과거와 현재 연구의 전반적인 시놉시스 제공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영양이 빈약한 토양환경에 적응하는 collimonad 기능거동이나 분포 및 abundance가 주목받는 것은 살아있는 진균이나 암석 및 미네랄로부터 영양 추출능력이 있어 그 활용가치는 매우 높다.
○ Collimonad는 진균성장 억제능력의 fungistasis, 진균질병으로부터 식물 뿌리보호의 biocontrol, 천연 중합체나 합성 오염물질 biodegradation 능력의 생물학적 및 무생물학적 상호작용을 이용한 연구는 유기농업의 바이오 살충제나 오염토양 정화 등 그 용도는 널리 확대될 수 있어 향후 연구결과가 주목된다.
○ 국내에서는 Bacillus와 Pseudomonas 속 미생물의 길항작용을 이용한 4종 복합비료가 개발되어 시판 중에 있다. 이들 미생물을 이용한 농약개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문제는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한 순수 균주분리와 대상작물 선택 및 제품화 과정에는 상당한 시간과 전문기술이 요구되어 국제적인 기술정보 교류나 기술전수가 필요하다.
○ 본고에서도 언급하고 있지만 Collimonas 속 박테리아에 대한 향후 연구는 게놈 툴이나 자원에 대한 기존 D/B를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새로운 균주나 각종 표현형적 작용 메커니즘 규명도 보다 용이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보다 합리적인 이용방안을 확립하는 것이다.
- 저자
- J.H.J. Leveau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12(2)
- 잡지명
- Environmental Microbi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81~292
- 분석자
- 한*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