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 폴리머 합성에 이용되는 고분자 아조 중합개시제
- 전문가 제언
-
○ 최근 고분자의 기능화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라프트 공중합이나 블록 공중합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특히 직쇄형 폴리머를 합성할 수 있는 블록 공중합체 합성방법이 정밀중합의 관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라디칼중합으로 얻은 폴리머와 중축합으로 얻어지는 폴리머 등과 같이 상이한 중합법으로 합성되는 복수의 폴리머 유닛을 조합한 블록공중합체의 합성은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는 수단이 되고 있다.
○ 블록 공중합체는 리빙 아니온중합으로 합성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리빙 라디칼중합 등 정밀 중합법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으나, 이 방법은 적용할 수 있는 모노머가 제한되거나 반응조건을 정밀하게 제어해야 하는 등의 문제로 공업화에 어려운 경우가 많다.
○ 폴리머 유닛이 분자사슬 가운데 복수 개가 포함된 고분자 아조 개시제를 사용하는 라디칼 중합방법은 종래의 라디칼 중합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호한 효율로 블록 공중합체를 합성할 수 있고 사용 가능한 모노머나 폴리머 유닛의 선택 폭도 넓어서 공업화의 관점에서 매력적이다.
○ 양 말단에 카르본산을 가진 아조 중합 개시제와 양 말단에 반응성 관능기를 가진 폴리머 유닛을 축합하여 공업규모로 고분자 아조 개시제를 합성하는 기술이 확립되었다. 축합 방법은 반응의 제어나 부생성물 제거를 고러하여 디시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DCC)법을 채용하여 고품위의 고분자 아조 개시제를 제조할 수 있게 되었다. 본고는 고분자 아조 중합개시제의 합성과 이를 사용하는 블록 공중합체의 합성과 특성에 대하여 해설한 것이다.
○ 고기능화를 목적으로 하는 블록 중합체 합성법으로서, 각종 축합계 폴리머(폴리메틸실록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유닛)를 세그먼트로 가진 반응성 고분자인 고분자 아조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여 합성된 폴리머는 고분자 아조 개시제의 특성을 부여받게 되며 상용화제, 표면 개질제, 도료, 화장품 재료 등의 분야에 응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고분자 재료의 특성 향상에 활용될 수 있는 유망한 기술로 사료된다.
- 저자
- Tomotaka Totsuka,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39(9)
- 잡지명
- ファインケミカル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47~52
- 분석자
- 이*옹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