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역사를 통해 엮어본 위생시스템과 폐수관리

전문가 제언
○ 지구의 물 총량은 13억 8천 6백만㎦ 정도로 추산하고 있는데, 이 중 염수가 97.5%, 담수가 2.5%를 차지하며 담수 중 약 69%는 빙설형태로 존재한다. 인구증가와 산업화로 담수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폐수의 양도 늘어나고 있다. 세계의 담수 상당량이 오염돼 비위생적이고 기후변화, 관개용수 낭비 등으로 물 부족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수자원을 지속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폐수의 효과적 관리는 필수적이다.

○ 현재 미국은 총인구의 70%(약 2억 2천만 명)에 의한 폐수를 적어도 2차 처리 과정을 거친 후 방류하고 있다. 2차 처리는 1차 처리 후 남아 있는 유기물질을 제거하는데, 질소도 포함된다.

- 도시 및 산업폐수처리장 방류수는 총 영양소 수계 유입량의 50% 이상을 차지한다고 한다. 세계의 국가 대부분처럼 미국도 방류수 상당량을 농업용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캘리포니아는 방류수의 약 40%를 관개용수로 이용한다고 한다.

- 미국에서 가장 큰 폐수처리장은 Washington, DC에 있는 Blue Plains 폐수처리장으로 1일 처리용량은 140만㎥이다.

○ 우리나라는 347개 하수(폐수)처리장이 있다. 우리나라 최초의 하수처리장은 중랑하수처리장이다. 서울시는 혐오시설 인식을 없애고자 2005년 하수처리장과 하수처리업소의 명칭을 각각 물 재생시설과 물 재생센터로 변경했다. 중랑 물 재생시설의 1일 처리용량은 151만 톤이다.

○ 섬유산업은 폐수 발생량이 가장 많은 산업 중 하나로서 섬유제품 ㎏당 평균 약 160ℓ의 용수가 소비된다고 한다. 외국에서는 섬유산업 폐수를 2차 수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큰 관심을 기울여 연구를 수행해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염료폐수에 대한 적극적인 재활용연구가 수행되었으면 한다.
저자
Giusy Lofrano, Jeanette Brow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408
잡지명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5254~5264
분석자
한*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