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기능 나노파이버

전문가 제언
○ 나노기술은 원자나 분자들이 적층될 정도의 미세한 크기의 물질을 다루는 기술로 형태상의 특성에 기인한 물리적 및 화학적인 장점을 활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나노기술의 진전으로 나노파이버에 대한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 나노파이버는 직경이 1㎛ 미만의 섬유를 말하며, 특징으로서 높은 비표면적, 나노 사이즈 효과, 집합 계층화에 의한 기능 창출 등이 있다. 나노 파이버의 비표면적은 머리칼의 100-10000배로 아주 커서 디바이스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또한 그 직경이 나노 사이즈로서 광의 파장에 근접하므로 광학적 특성을 발현한다. 1차원의 나노파이버(1본의 실)를 집합 계층화하여 2차원의 부직포로 만들면 기능성이 높아져서 그 용도가 크게 확대되며, 환경, IT, 바이오기술 등에 널리 사용이 기대된다.

○ 전계 방사법 중의 하나인 일렉트로스피닝법으로 제조된 나노파이버의 두꺼운 부직포는 필터나 기능성 의료 등에 응용이 기대된다. 생체적합성 재료의 특성을 이용하여 인공장기의 재료나 수술사 등 의료분야 응용이나 세포조직 배양장으로 이용이 추진되고 있다. 나노파이버 박막은 상온, 상압에서 단시간에 제조할 수 있고 표면적이 넓고 많은 빈 구멍을 가지고 있어 광학 센서, 화학 센서 등에 응용이 연구되고 있다.
○ 최근 나노기술의 발전에 따라 폴리머와 무기재료와의 복합, 몇 종류의 폴리머를 복합하면 특수한 기능을 발현할 수 있게 되었다. 본고는 폴리머와 무기재료와의 복합에 의한 기능 발현의 예로서, 색소증감 태양전지에 응용하는 사례와 복수의 폴리머를 복합하여 표면물성을 제어하는 콤포짓트 나노파이버의 발수재료로 응용에 대하여 소개한 것이다.

○ 고분자 나노섬유를 더욱 활용하기 위해서는 나노섬유 소재의 다양화, 복합화, 섬유 표면의 고기능화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나노섬유는 바이오(BT) 및 정보(IT)기술과 만나 새로운 융합기술로 발전될 것으로 예상된다.
저자
Shiratori Seime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22(2)
잡지명
成型加工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74~78
분석자
이*옹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