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신경 질환의 시신경 재생을 위한 줄기세포 및 전구세포 사용 전략
- 전문가 제언
-
○ 줄기세포 이용 분야는 몇 가지 이유로 인하여 연구의 활성화가 지연되고 있음이 사실이다. 이들 이유들로서는 윤리적인 문제, 종양 생성과 같은 부작용의 문제 등이 있으며 이들 이외에도 국내 일부 인사들의 부적절한 처신으로 인하여 줄기세포 분야 연구가 불신임 받고 있음이 사실이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줄기세포의 이용은 무한한 이용 가능성을 갖고 있다. 이 중의 하나가 전 세계적으로 6천만 명 정도의 환자를 갖고 있는 녹내장에의 이용이다. 녹내장은 주로 안압 증가로 인하여 시력의 영구적 소실을 가져오는 경우가 많다. 시신경의 회복은 일부 하등 동물에서는 자연적으로도 이루어지고 있지만 인간에서는 불가능한 상태이다.
○ 본 레뷰에서는 줄기세포와 전구세포들을 이용하여 녹내장과 다른 시신경 병인으로 오는 신경세포 손상을 재생하는 전략에 관하여 다루고 있다. 시신경과 시각병리를 비롯한 관련 해부 및 병리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나아가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실험 동물을 사용한 연구의 현황과 전망 등을 기술하고 있다.
○ 녹내장을 비롯한 시신경 분야에 줄기세포를 이용하는 문제는 여러 가지 의미에서 중요성이 크며 대단히 중요한 분야이다. 전 세계적으로 현재의 연구 수준은 이제 시작 단계에 있다. 망막이나 수정체에 주입한 줄기세포들이 일정 기간 증식하고 있음이 확인되고 있으나 기능을 발휘하는 정도까지 이루지는 못하고 있다.
○ 줄기세포를 안과 분야에 성공적으로 적용하기 위하여서는 여러 분야의 협력이 요구된다. 줄기세포 분야의 전문가는 물론 임상가들의 참여는 필수적이다. 줄기세포가 망막을 비롯한 안 신경세포 구역에 성공적으로 정착하고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성장 인자 등 유용한 물질을 전달시켜 줄 수 있는 벡타성 바이러스를 개발할 수 있는 유전공학자의 참여가 요구된다.
- 저자
- A.H. Dahlmann-Noor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15(7)
- 잡지명
- Drug Discovery Toda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287~295
- 분석자
- 신*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