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Yubileinaya 킴벌라이트(Kimberlite) 파이프의 3D 모델
- 전문가 제언
-
○ 킴벌라이트(Kimberlite)는 남아프리카공화국 킴벌리(Kimberley)의 다이아몬드를 함유한 각력상 운모감람암에 대하여 1887년 영국의 H. C. 루이스가 명명한 것이다. 선캄브리아기 안정대륙의 단열융기대를 따라 산출되며 알칼리현무암, 하석암(Nepheline) 등의 염기성암이나 카보나타이트를 수반한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케이프주에서 자이르에 걸쳐 다수의 킴벌라이트 암맥이 있고, 또한 캐나다, 러시아, 호주, 인도, 브라질 및 보르네오 등에도 분포한다.
○ 킴벌라이트에 배태하는 다이아몬드는 탄소의 결정체로서 그 성인은 지하 500∼700km의 깊이에 있던 마그마의 상승에 의한 온도와 압력조건의 변화에 의하여 마그마 중에서 다이아몬드로 결정화 되고 이를 함유한 마그마가 지표 가까이까지 분출된 것이다. 킴벌라이트는 파이프 모양이나 당근뿌리 같은 모양이다. 다이아몬드의 결정립은 산점상으로 존재한다. 1톤의 킴벌라이트 암반 속에 1캐럿(0.2g) 정도의 다이아몬드가 들어 있다.
○ 킴벌라이트 내에 배태하는 다이아몬드의 채굴은 대규모 근대적 채굴법을 채택하여 깊은 갱도를 파서 킴벌라이트를 분쇄하고 선광하여 채집한다. 먼저 비중선광에 의해 무거운 광물립을 모으고 이것을 물과 더불어 그리스를 바른 탁자 위에 흐르게 하여 다이아몬드를 고른다. 킴벌라이트에서 채취된 다이아몬드는 중량, 색, 내포물, 커트 및 형광반응을 통해 종합적으로 감정하여 평가한다.
○ 킴벌라이트에서 채취된 다이아몬드의 가치를 평가하는 기준요소 4C는 다음과 같다. (1) Carat weight(중량), (2) Color(색상), (3) Clarity(투명도), (4) Cut(연마) 등이다. 다이아몬드의 무게, 즉 크기는 캐럿(CT)으로 표시하며 1캐럿은 0.2g이다. 칼라는 "D"가 제일 좋은 칼라 등급이고 E, F, G, H, I, J, K, L, M 등으로 내려간다. 내포물은 10배로 확대하여 보는 상태이다. 즉 FL(내포물 없음), VVS(아주아주 작은 내포물), VS(아주 작은 내포물), SI(보통 내포물) 및 I(내포물 많음) 등이다.
- 저자
- A. S. Gladkov, I. V. Makovchuk, O. V. Lunina, S. A. Bornyakov, and I. A. Potekhin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52(3)
- 잡지명
- Geology of Ore Deposit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34~251
- 분석자
- 황*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