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생물학적 수소의 생산
- 전문가 제언
-
○ 화석연료의 자원은 제한적이고 소비는 급증하고 있어 새로운 대체에너지 자원이 발굴되어야 한다. 태양에너지는 광합성 미생물에 의해 수소와 같은 화학에너지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생물학적 수소의 생산은 지속가능한 에너지 원천을 가지며 화석연료와 같은 환경문제가 없고 각국 고유 에너지원으로서 자립 생산이 가능하다.
○ 생물학적 수소의 생산은 두 가지로 대별할 수 있는데 광생물학적인 방법과 혐기 발효에 의한 방법이 있다. 이 글에서는 유산소(oxygenic) 및 무산소(anoxygenic)의 광생물학적 수소생산에 관한 최근의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하여 그 특징 및 과제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 생물학적 수소의 생산은 일반적으로 생산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지만 경쟁력 있는 수소생산을 위해서는 외부 조건 변화에 의한 미생물의 성장, 관련 효소의 유도, 반응기 설계 등의 최적화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특히 수소의 대량 생산을 위한 설비 대형화와 안정적 운전이 주요 과제로 볼 수 있다. 향후 유전자기술의 적용 확대와 대사공학과의 접목이 생물학적 수소 생산 공정의 효율성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 미국, 독일, 일본 등 선진국들은 1990년대 초부터 국가적 차원의 생물학적 수소생산에 대한 연구개발을 시작하였으며 향후 20~30년 내에 수소경제사회 실현을 목표로 체계적인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우리나라는 1990년대의 실험실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최근 정부는 저탄소 녹색성장 견인을 위하여 바이오수소 생산기술개발 사업을 본격 착수한다고 밝힌 바 있다. 에너지 자원 빈국인 우리나라로서는 대체에너지 확보 및 환경 정책 차원에서 동 부문의 연구개발을 적극 추진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James B McKinlay and Caroline S Harwood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21(3)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44~251
- 분석자
- 황*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