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병원폐수의 신 미량오염물질 및 처리방법

전문가 제언
○ 최근 문제가 되는 것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오염물질을 신 또는 신종 오염물질(emerging pollutant)이라 일컫는다. 병원폐수 중 각종 의약품 성분은 이에 속한다.

- 각종 항생제의 경우 유럽에서만도 해마다 약 10,000톤 소비되는데, 약 절반은 인간의 의약으로, 나머지는 가축병 치료 등으로 사용된다고 한다. 인간에 사용되는 항생제 중 약 26%는 병원이 소비하는데, 이 항생제와 대사산물은 병원폐수에 함유되어 궁극적으로 폐수처리장에 배출된다고 한다(Kummerer, 2001).

- 인도 Ujjain 지역 2개 병원의 폐수 중 항생제 성분에 대한 자료에 의하면, 생태환경을 오염시키는 폐수는 norfloxacin, metronidazole, ceftriaxone, sulphamethoxazole, ofloxacin, ciprofloxacin, levofloxacin 및 tinidazole을 1.4∼236.6㎍/L로 함유하고 있었다(2009년 기준).

○ 2005년 기준으로 우리나라는 특수병원(2개 결핵병원과 2개 한센병원)을 제외하고 일반병원(282개 종합병원, 763개 병원 및 24,491개 의원)이 있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환경부는 2001년 12월 31일 병원폐수 배출시설의 적용범위를 종합병원에서 100병상 이상의 병원으로 확대하는 내용의 수질환경보전법 시행규칙 개정령을 발표했다. 그래서 100병상 이상인 모든 병원은 동법 제11조의 규정에 따라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배출허용기준 이내로 처리하기 위한 수질오염 방지시설을 갖춰야 한다.

○ 항균 세정제 원료인 트라이클로산(triclosan)은 세계적으로 유해가능성 논란이 일고 있다. 2010년 4월 미국 식품의약청(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은 항균 손 세정제에 사용되는 물질인 트라이클로산이 건강에 특별한 이점이 없다고 발표했다. 현재 트라이클로산은 화장품, 비누, 세제, 치약 등을 위시해 주방용품, 장난감 등에까지 사용되고 있어 이에 대한 안전성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겠다.
저자
P. Verlicchi, A. Galletti, M. Petrovic, D. Barcel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389
잡지명
Journal of Hydr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416~428
분석자
한*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