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도성 고분자 전해질 및 2차 전지
- 전문가 제언
-
○ 2차 전지 또는 축전지(storage battery) 등과 같은 충전식 전지는 다양한 기기들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 매우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그리고 전지의 내구성 및 효율의 향상을 위해서 전지에 포함된 활성물질의 성능 개선에도 많은 노력이 현재 집중되고 있다.
○ 특히 2006년 일본 Sony사의 노트북 PC용 리튬2차 전지 폭발사고 및 국내의 LG화학의 리튬 2차 전지의 폭발사고 등으로 유기용제에 리튬을 용해한 현재의 액체 전해질 전지의 폭발위험을 해결하기 위해 고체고분자 전해질을 채용하여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국내외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 현재 블록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고분자 전해질은 복합 상(multi-phase) 구조로 이동성 금속염(metal salt)을 수송하는 전해질 역할뿐 아니라 전기 활물질을 포함한 고분자 전해질 구성체로서 양극 및 음극과 같은 전극용으로 사용도 가능하므로 개발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었다. 본 발명의 2차 전지는 전기적 특성 및 기계적 특성의 밸런스를 동시에 맞추고 또한 다공성 분리막이 불필요한 기기의 적용에도 가능한 고체 전해질의 성능을 보이고 있다.
○ 고체 전해질은 액체 용매들의 에스테르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H2O나 유기용매 등의 고온 증기압에 의한 가스폭발, 전해액의 오염 및 누액 등의 위험이 근본적으로 없기 때문에 2차 전지 분야뿐 아니라 수소센서, Al 전해커패시터, 전기이중층 커패시터 등에서도 많은 장점을 갖는 새로운 고체 전해질의 개발을 위한 연구가 현재 진행되고 있다.
○ 현재 삼성 SDI, LG화학 등이 확보하고 있는 2차 전지의 기술수준은 국제적으로 상당히 앞서 있는 단계에 있다. 앞으로 기술 경쟁력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는 2차 전지 분야에서 기술적 우위를 지속하기 위해 고체 고분자 전해질 분야의 실용화를 위한 연구는 더욱 활성화될 필요가 크며 또한 국내의 학계 및 연구기관들의 관심과 지원도 더욱 요망되고 있다.
- 저자
- DOW GLOBAL TECHNOLOGIES INC.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WO20100093672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52
- 분석자
- 나*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