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나노튜브-폴리머 복합소재 연구의 최신 발전동향
- 전문가 제언
-
○ CNT는 완벽한 구조와 기계적, 물리적, 전기적 및 열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런 우수한 특성을 지니는 CNT는 나노복합재료 분야에서의 충전재료로 뿐만 아니라 고전도성을 요하는 투명전도성 필름이나 고강도의 경량특성을 이용한 구조재료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 전도성 복합재료로서의 응용분야는 정전기 방전재료 및 전자파 차폐재료, 자동차 외장용 e-페인팅 분야를 들 수 있고 탄소나노튜브 기반 투명 전도성 필름의 평판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등의 전극재료로 응용이 가능하다.
○ 우리나라에서도 10여년 전부터 지식경제부에서 나노기술 발전을 위해 과감하게 투자하기 시작하여 산학연 중심으로 CNT-폴리머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 한국전기연구원의 나노카본 연구그룹에서는 CNT 투명전극의 물리화학적 성질과 계면접착력의 확보를 위해 바인더 물질을 CNT 분산액과 혼합한 일액형 CNT/바인더 혼합 코팅액을 제조하여 유리나 고분자 필름에 코팅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 연구소에서는 태양전지용 탄소나노튜브 전극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중소기업인 나노미래(주)에서는 한국섬유개발연구원과 공동으로 '탄소나노튜브를 활용한 전도성 섬유'를 개발하고 있다.
○ 탄소섬유는 이미 인체에 유해함이 알려져 있다. CNT에 대해서도 그 잠재적 위해성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미국의 국립직장안전성 및 건강연구원의 연구진은 미량의 SWCNT가 이를 흡입한 쥐의 폐 조직에 물리적 변화를 야기해 폐의 박테리아 제거능력을 현저히 감소시킨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탄소나노튜브 복합소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세물질이 인체에 미칠 수 있는 위해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장기적인 연구를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 저자
- Michele T. Byrne and Yurii K. Gunk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0
- 권(호)
- 22
- 잡지명
- Advanced Material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672~1688
- 분석자
- 김*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