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플라스틱 필러의 동향
- 전문가 제언
-
○ 플라스틱 복합재료에서의 필러의 역할은 플라스틱 단독으로는 얻을 수 없는 역학특성(기계특성)의 부여, 플라스틱에 없는 다양한 기능의 부여, 기타 치수정밀도, 선팽창계수, 표면광택, 2차가공성 등의 향상이다. 필러(filler)를 이용한 플라스틱 복합재료는, 자동차 분야, 전기?전자?정보 분야, 기계 분야를 시작으로 많은 공업 분야에서 중요한 소재로 폭넓게 이용되는데 위의 자료는 일본의 각종 분야에서 활용되는 필러의 종류 및 역할을 잘 정리하여 놓았다.
○ PVC수지는 포장용, 건축용 등 다양한 용도로 오래 전부터 사용되고 있는데 수지 특성 상 가공이 어려워 프탈레이트계의 가소제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들이 내분비장애물질(환경호르몬)로 의심되고 있고, 소각 시 다이옥신이 다량 배출되어 식품용 랩은 PE로, 유아용 장난감 역시 PE로, 건축용 창호재는 ABS수지로 대체되는 등 환경 대응이 주요 키워드이다. 이와 같이 플라스틱에 사용되는 각종 필러는 환경에 대응하는 기술 개발이 앞으로 국제경쟁력을 높이는 기회가 될 것이다.
○ 국내의 필러는 정밀화학 산업이 주도하고 있는데 시장 현황은 다국적 기업 제품 중심의 수입품이 우위를 점하고 있는 실정으로 국산화가 이루어진 제품과 고가의 수입품으로 이원화되어 있다. 이중 충격보강제, 열안정제, 가소제 등은 국산화가 활발히 진행되어 수출까지 하고 있는 반면 본문에 거론된 특수한 그레이드의 고부가가치 제품은 국내 생산실적이 미미하거나 전무한 상태이다. 향후 고부가가치의 신제품 개발 및 품질 차별화에 의한 수출 증대가 국내 산업의 과제이다.
- 저자
- Manabu Nomur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61(9)
- 잡지명
- プラスチックス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9~14
- 분석자
- 최*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