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산화물 나노시트를 이용한 나노 광전변환 박막

전문가 제언
○ 많은 천이금속 산화물이나 페로스카이트 구조 산화물이 층상구조를 하며 층상구조를 하는 산화물은 화학적으로 처리하면 얇은 박막으로 박리한다. 얻어진 나노시트는 두께가 1∼5㎚ 정도이고 넓이는 서브마이크로에서 수십 마이크로의 크기로 2차원적인 특징을 가진다.

○ 이산화티타늄 나노시트는 광촉매, 서리방지, 셀프 클리닝 등 여러 가지 용도로 이용되는데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산화티타늄의 가전자는 자외선에 의해서만 전도대로 여기되고 가시광선에서는 반응이 없다. 이런 점을 보안하기 위해 여러 가지 첨가제를 이용하여 가시광선에서 응답하는 재료를 개발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 이 보고서에서는 이산화티타늄 나노시트와 이산화망간 나노시트의 교대 적층, 유기물질을 함유한 이산화티타늄 나노시트와 MPS의 적층, 이산화티타늄과 유기물질의 적층 등 복합구조를 구축하여 자외선뿐만 아니라 가시광선에서도 응답하는 광전변환 성능을 검토하였다. 앞으로 태양전지 등 다양한 응용이 기대된다.

○ 그 외에도 이산화티타늄 나노시트는 고 유전율의 절연재로서, Co를 일부 치환한 Ti0.8Co0.2O2 나노시트는 자기광학 재료로서 연구되고 있으며, Ba2SrTa2O 나노시트와 La0.90Eu0.05Nb2O7 나노시트는 발광재료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이 구조 제어로 다양한 기능의 재료가 개발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나노시트를 Langmuir-Blodgett법으로 적층하면 분자 사이에 작용하는 반데르발스 결합이 약하여 열적으로 불안정한 경우가 있다. 나노시트는 표면에 전하를 띠고 있으므로 서로 다른 부호의 전하를 가진 물질을 교대로 적층하는 상호흡착 방법으로 복합구조를 구축하면 더욱 안정할 것이다.
저자
Kosho Akatsuk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0
권(호)
61(1)
잡지명
表面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3~29
분석자
김*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