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탄소배출 없는 바이오연료 생산을 위한 청정 바이오 공정

전문가 제언
○ 유럽에서는 바이오디젤을, 미국과 중남미에서는 바이오에탄올을 각각 주요 에너지원으로 개발하여 상용화단계에 이르렀다. 미국, 유럽연합등에서는 이미 정부차원의 집중적 투자를 통해 바이오에너지 산업을 국가전략 산업으로 육성중이다.

○ 목질셀룰로오스를 이용한 바이오 정제 공정도 개발되고 있다. 목질셀룰로오스의 수열전처리, 효소이용 가수분해, 발효 공정 등을 거쳐 에탄올이 생산되며 발효과정에서 발생되는 CO2를 포획하고 발생되는 바이오가스를 이용해 복합발전을 하는 등 지금껏 개발된 여러 요소기술을 적용하려 한다.

○ 팜유생산에서 발생되는 바이오매스 폐기물은 바이오 정제 공정을 거쳐 에탄올과 고형 바이오연료로 전환되며 부수적으로 동물사료도 생산된다. 일부 파일럿 플랜트는 밀짚을 원료로 사용하여 에탄올, 동물사료, 에너지 생산용 그린펠릿 등을 생산한다.

○ 이 자료는 바이오에너지의 미래수요 공급과 관련하여 정책, 시장조건, 바이오에너지 자원의 식량안보 등을 평가한 것이다. 머지않아 폐기물 재순환과 자원회수를 위한 바이오공정 이용이 활발해질 것이다. 폐쇄 사이클에서의 바이오연료 생산이 폐기물 발생을 극소화 할 수 있는 기술적 경제적 해결방안임을 제시한다.

○ 우리나라에서도 2000년 1차 에너지 대비 약 1%에 불과하던 재생에너지의 분담비율을 2011년 5%까지 높인다는 중장기 개발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폐기물의 효소이용에 의한 가수분해와 고효율 혐기성 반응기를 이용한 가스화 등이 활발히 연구되며 바이오디젤 생산 플랜트도 가동하고 있다.

○ 환경영향을 경감시키면서 경제성 있는 바이오연료의 무-배출 바이오 공정이 고도로 개발되어야 한다. 목질셀룰로오스 원료를 사용하는 제 2세대 바이오에너지 생산기술 개발을 세계적인 목표로 삼아야 할 것이다.
저자
Sinisa N. Dodic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14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3242~3246
분석자
김*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