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화염억제제 PBDEs의 조류 오염

전문가 제언
○ 최근 보도(MiriAn-GTB 10-09-07)를 보면, PBDEs는 가구와 전자제품의 코팅에 이용하는 화염억제제, 즉 내연제로 화학적 결합상태가 아니므로 하?폐수로 방류되거나 대기 중으로 배출되어, 환경에 잔류하면서 철새나 텃새 등 조류의 체내로 이동하여 먹이사슬을 따라 생체 간 확산된다.

○ 환경에 잔류하는 PBDEs는 강과 하천을 거쳐 종국적으로 바다로 흘러들어가 해저퇴적물에 잔류한다. 지금 전 세계의 해저 어디나 PBDEs가 검출된다. 특히 해저퇴적물에서 PBDEs의 동족체 중에서도 BDE-47이 가장 많이 검출된다. 세계의 공장 역할을 하는 중국과 마주한 우리나라의 황해에도 당연히 검출될 것이다.

○ 해저의 BDE-47은 해저생태계의 다모류 및 갯지렁이 등 환형동물의 생장에 악영향을 미쳐 해저동물 군집의 생태변화를 나타낸다. 지금까지 주로 바다 어류나 바다 조류의 체내 농도에 대해 연구해 왔으나, 먹이그물의 하부에 자리한 바다 하등생물에 나쁜 영향을 미치므로 PBDEs의 생태계에 대한 영향은 거의 치명적이다.

○ PBDEs의 사용과 방출이 현재대로 진행된다면 머지않아 해양생태계의 하부 영양단계에 영향을 미쳐 해양생태계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바다와 육지의 조류에 대한 영향 연구보다는 하천과 해양의 하등생물에 대한 PBDEs의 영향도 보다 광범위하게 연구해야 한다.

○ 우리나라는 PBDEs에 대한 해양생물의 영향 연구는 일천한 편이다. 특히 조류에 대한 영향 연구는 본 분석대상의 리뷰논문의 106개 중에서 공동연구 2개뿐이므로 그 기반이 취약하다. 특히 동지나해에서 황해까지 중국의 하?폐수로 배출되는 PBDEs의 총량을 먼저 산정한 후에 PBDEs의 해양생태계 연구를 해야 한다. 그 양이 통상적인 수준 이상이라면 중국과 공동연구, 아니면 우리나라 연구팀만으로도 연구해야 한다.
저자
Da Chen, Robert C. Hale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36
잡지명
Environment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800~811
분석자
김*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