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자원을 가스연료 탄화수소로 전환방법
- 전문가 제언
-
○ 이 발명은 생물자원을 가스연료 탄화수소로 전환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석유자원의 감퇴로 새로운 에너지원인 생물자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생물자원에 대한 여러 가지의 선택이 탐구되어 왔다. 그 내용은 합성가스 생성을 위한 가스화, 바이오오일 생산을 위한 열분해와 액화 및 섬유소와 반 섬유소 생물자원의 가수분해를 통하여 생성된 당분의 발효 등이 포함된다.
○ 이 발명은 특별히 생물자원에서 유도된 C2~6 카복실산 또는 C2~6 카복시산염을 함유한 용액의 제공과 C1~5 탄화수소 생성을 위하여 이 용액과 고체촉매의 접촉방법이 포함되어 있다. 카복실산은 열화학, 촉매 및 생화학의 다양한 접근 방식으로 생물자원에서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사슬 지방족 카복실산 또는 그들의 염은 발효에 따른 가수분해로 당분에서 얻을 수 있다. 다른 예로는 도시폐기물을 합성가스로 조성한 다음 카복실산 혼합물로 전환하는 방법이다.
○ 이 발명은 프로판이 풍부한 탄화수소 연료를 생성하기 위하여 카복실산 또는 그 염을 탈카복시화 반응을 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이 방법은 액화석유가스 제조에 적용될 수 있다. 생물자원에서 유도된 하나 또는 더 많은 단-사슬 카복실산이나 그들의 염을 함유한 용액을 제공한다. 다음에 그 용액을 기체 또는 액상에서 하나 또는 더 많은 단-사슬 탄화수소를 생성하기 위하여 고체촉매와 접촉시킨다.
○ 반응탑의 온도상승은 제품으로 분해될 낙산의 전환이 가장 뚜렷하게 증가되었다. Pt/Al2O3 촉매를 사용하여 350oC와 WHSV=2.7h-1의 조업조건에서 생산된 제품의 선택성이 프로판 79%와 부탄 11%로 높은 전환율을 나타냈다. 이렇게 생물자원을 사용하여 가스연료인 탄화수소를 생산하는 방법을 연구개발은 화석연료의 수요를 줄이고 다량의 CO2 발생으로 인한 자구온난화를 해결하는 방법이다.
○ 한국에서도 국제적인 기술개발과 수준에 발맞추어 나아갈 수 있도록 연구에 박차를 가해야 할 적절한 시기라고 확신한다.
- 저자
- FLYTZANI-STEPHANOPOULOS, Maria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WO20100096812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9
- 분석자
- 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