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생물학적 원료물질에서 연료 펠렛의 생산 방법

전문가 제언
○ 이 발명은 생물자원물질에서 연료 펠렛을 생산하는 방법과 관계된다. 특히 농업폐기물, 톱밥, 산림의 목재폐기물 등의 리그노셀룰로오스 물질 속에 함유된 리그닌을 결합제로 사용하여 펠렛을 제조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또한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설비와 이 방법으로 제조된 펠렛과 관계된다. 생물자원은 깨끗하고 풍부하며 재생할 수 있는 에너지이다. 많은 나라에서는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지구온난화의 주요 원인 중의 하나인 CO2의 배출을 줄이는 데 적극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 현재로서는 생물자원연료의 시장이 작은 것이 큰 잠재력이 된다. 펠렛의 제조는 한 가지의 생물자원에 대한 전처리이고 생물자원의 저장과 운송비용을 낮추기 위하여 용적밀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결과적으로 바이오연료의 생산자가 생물자원을 광범위하게 사용하게 된다. 펠렛 제조의 목적은 높은 용적에너지밀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농업폐기물, 목재와 나무껍질과 같은 생물학적 물질들은 주로 셀룰로오스섬유, 리그닌, 반 셀룰로오스와 추출물을 함유한다.

○ 이 발명에 의한 방법으로 제조된 펠렛은 글라스형의 리그닌표면이 형성되고 펠렛의 표면은 소수성이 된다. 이 발명에 의한 방법을 사용하면 건조된 공급원료 기준 97%의 높은 생산성이 성취될 수 있고 증발물질도 펠렛 속에 보존된다. 펠렛 형성단계의 온도가 대략 150oC 이상에서 생산된 펠렛은 소수성, 물리적 완전성, 저장능력 및 분쇄되는 성질이 현저하게 개선되었다.

○ 스팀을 사용함으로써 포타슘 등의 알칼리성 광물질의 함량이 낮은 청정한 생물자원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재의 함량도 현저하게 낮아진다. 특히 원료물질의 염소함량을 20~50%까지 낮출 수 있다. 보일러의 부식문제도 충분히 감소된다. 이렇게 제조된 펠렛은 바이오연료의 생산자가 생물자원을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바이오연료 생산에 효과적이다. 한국에서도 이러한 선진적인 연료 펠렛 생산의 연구개발이 필요한 실정으로 이 분야도전의 계기로 확신한다.
저자
BOSON ENERGY SA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WO20100093310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2
분석자
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