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ssia 북동부 Dukat광화대 교대암석에 분포하는 산화망간과 수반광물
- 전문가 제언
-
○ 망간은 원소기호 Mn, 원자번호 25, 원자량 54.938049 및 주기율표 7(7A)족에 속하는 금속원소의 일종이다. 망간을 크게 분류해 보면 탄산망간, 산화망간, 망간토 및 망간단괴 등이 있으며, 망간광물의 종류는 수십 종에 이른다. 탄산망간은 대체로 분홍색을 띠며 산화망간, 망간토 및 망간단괴는 암회색 내지 흑색을 띤다.
○ 망간은 95% 이상이 금속산업, 주로 철강산업에서 합금철 형태로 강철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데, 철강 제련 시 탈황 및 탈산작용을 할 뿐 아니라 철강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여 제련용 flux 및 합금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기타 주요 수요분야로는 건전지 원료로 이용되며 화합물의 형태로 착색제 및 산화제로 널리 이용된다.
○ 세계 총 매장량은 육상에서만 약 50억 톤으로 추산되며 부존국은 브라질, 가봉, 남아공, 인도, 호주 등이며 주 생산국 역시 부존국가와 동일하다. 우리나라에는 경북 봉화지역에 소재하는 장군광산, 충북 황강리 지역, 단양지역, 경북 경주지역 및 영덕지역에 소규모로 분포되고 있으며, 과거 20만 톤 내외의 광석생산이 있었으나 1988년 이후 생산이 중단되었고, 각종 원료로 연간 약 50만 톤 내외의 광석을 수입하고 있다.
○ 해저의 망간단괴는 매장량이 200억 톤 내외가 부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망간단괴는 해저에 철과 망간 수산화물이 침전되어 중심부로부터 층을 이루는 것이다. 망간단괴는 Mn 28%, Ni 1.2%, Cu가 1.1%, Co가 0.2%, 나머지는 잡석인 덩어리로 구성되어 있다. 태평양의 수심 3천∼6천m 해저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 태평양 심해저에 있는 우리나라 단독 개발광구인 하와이 동남쪽 2천5백 km 지점에서 200조 원 규모의 대규모 망간 단괴가 발견되었다. 7만5천 km2에 걸쳐 묻혀 있는 망간단괴는 5억여 톤으로 실제 회수 가능한 물량은 3억 톤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실제 회수물량 3억 톤을 현 국제시세로 환산할 경우 무려 200조 원에 달한다. 이는 연간 300만 톤씩 100 년간 생산할 수 있는 규모이다.
- 저자
- L. G. Filimonova, A. V. Sivtsov, and N. V. Trubki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52(4)
- 잡지명
- Geology of Ore Deposit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22~333
- 분석자
- 황*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