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라마솜(Inflammasome)
- 전문가 제언
-
○ 이 리뷰는 세포 감염이나 세포 스트레스에 반응하여 caspase-1 활성경로를 통해 IL-1β와 같은 염증 전 시토카인들의 생성과 분비를 조절하는 분자적 플랫폼인 “인플라마솜”에 대하여 PRRs(germline-encoded pattern-recognition receptors)에 속하는 NLRs(NOD-like recptors)에 초점을 두고 그 구성과 작용기구에 대해 알아본 내용이다.
○ 이들 NLRs 중 현재 NLRP3 인플라마솜의 구조와 그 활성화 기구에 대한 것이 비교적 잘 밝혀져 있으나 그 기구에 대한 미비한 부분(NLRP3-활성 자극에 반응하여 생성되는 ROS의 근원)이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보며, 다른 NLRP 인플라마솜들에 대한 상세한 구조 및 작용기전의 규명은 앞으로 기초 학문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 생각한다.
○ NLRP와 달리 바이러스, 세균, 또는 숙주 자신으로부터의 세포질 dsDNA에 활성화되는 인플라마솜인 AIM2의 활성화 경로와 그 생리적 의의의 규명, pyroptosis가 활성형 인플라마솜 경로를 일으키는 유전적 자가염증성 질환에서 병리학적 역할, ROS에 의해 촉진되는 autophagy와 인플라마솜과의 상호 조절기구 규명을 위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Inflamasome에 대한 분자적 기전에 대한 것은 극히 최근에 알려진 것이며(약 10여 년), 국내의 면역학자들 중 이 분야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은 극소수이다. 특히 인플라마솜이 병원균들 및 다양한 구조의 PAMPs나 DAMPs 및 세포손상 후 방출되는 숙주 기원 분자들 및 대사 스트레스의 신호도 감지하므로, 인플라마솜들의 상세한 작용기전이 밝혀지면 이와 관련된 수많은 선천적 또는 후천적인 질환의 예방이나 치료에 크게 공헌할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자
- Kate Schroder, Jurg Tschopp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140
- 잡지명
- Cel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821~832
- 분석자
- 강*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