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항공승무원의 암 사망율: 2차 역학조사
- 전문가 제언
-
?전문가 제언?
○ 항공승무원은 고공에서 항상 움직이고 있는 특수한 직업군이다. 이에 대한 역학조사는 상당히 의미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시행된 바가 없으므로 독일 항공승무원의 역학조사 결과는 향후 있게 될 우리나라 국적 항공기 승무원의 역학조사의 참고로서 유용한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항공승무원은 운항시간 이외에는 정기적인 건강관리를 할 것이다. 직업상 금연 환경, 군살 없는 체형, 적절한 몸무게를 꾸준히 유지해야 하는 어떤 종류의 항공사 내규도 있을 것이다. 특히 조종사에게는 더 엄격히 요구되는 이런 특징으로 인해 전반적으로는 항공기 승무원은 낮은 암 사망율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 그러나 조종사의 경우 머리 부분의 암으로 인한 사망율은 대단히 높게 나왔다. 조종사는 비행기의 전방에서 머리 부분이 우주공간을 향해 노출되어 있으므로 우주방사선에 상대적으로 피폭될 확률이 높다고 예측은 할 수 있지만 과학적으로 입증 된 바는 없다. 이에 대한 향후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며 현재는 미량의 방사선도 검출할 수 있는 과학적 수단들이 존재하므로 이를 통해 물리적, 생물학적으로 체계화시켜야 할 것이다.
○ 남자 객실 승무원의 경우에는 Non-Hodgkin's Lymphoma 로 인한 사망율이 아주 높게 나왔는데 마찬가지로 향후 이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한다. 타 항공사의 역학조사 결과와도 비교해보는 것도 필요할 것이고 임상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어떤 실험적인 자료가 요구된다.
○ 항공승무원은 사회, 경제적으로는 안정된 직업군에 속하지만 우주방사선에 피폭될 위험성이 높고 또 특수한 직업 환경 때문에 핵발전소 근로자와 유사한 근로 환경에 처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지속적인 역학조사와 과학적인 입증 수단을 통해 꾸준히 관리해야 할 집단임에 틀림없다.
- 저자
- Hajo Zeeb, Gael P, Hammer, Ingo Langner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0
- 권(호)
- 49
- 잡지명
- Radiation and Environmental Biophysic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87~194
- 분석자
- 유*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