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의 치료
- 전문가 제언
-
<전문가 제언>
○ 지방세포가 증가하거나 크기가 커져서 비만이라는 생리적 표현형이 임상적으로 성인병인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심혈관질환 등의 위험률을 높인다는 사실은 많은 역학조사에서 밝혀졌고 실제로 체중감소가 이러한 질환의 발병률을 현격히 감소시킨다는 사실도 밝혀지고 있다.
○ Amylin은 1987년 미국에서 자생하는 독 도마뱀의 타액에서 발견된 단백질로서 혈당억제물질로 잘 알려진 Glucagon-like Peptide-1(GLP-1)의 수용체에 작용하여 혈당을 극적으로 개선하는 작용이 있음이 밝혀진 바 있다. 한편 지방조직에서 분비되는 식욕억제 호르몬인 렙틴은 중추신경계에서 식욕유발성신경의 활성을 감소시켜 주고 식욕부진성신경의 활성은 증가시켜 음식섭취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갑상선 호르몬인 calcitonin은 칼슘의 혈중 농도가 높으면 분비되어 혈중 칼슘을 뼈로 유입시켜 뼈가 재생되게 한다. Calcitonin과 부갑상선 호르몬은 반대 작용을 하며 칼슘의 혈중 농도가 낮아지면 부갑상선에서 호르몬(PTH) 이 분비되어 뼈를 파괴시켜 혈중 칼슘 농도를 증가시켜 준다. 부갑상선 호르몬 농도가 감소하면 뼈의 파괴보다는 뼈의 재생이 촉진된다.
○ 극심한 비만은 하나의 질병 범주에 포함되어 심지어 수술요법에 의한 치료가 이루어지기에 이르고 있다. 수술요법이 여러 부작용이 있고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보다 안전한 요법이 요구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에서 펩티드인 calcitonin 유사체와 그 조성물로 이루어진 식욕억제제의 투여를 통한 체중감소나 BMI를 낮추는 효과가 구명되고 있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일이지만 임상적으로 식욕억제로 일어날 수 있는 부작용을 어떻게 극복하는가가 앞으로 해결할 과제로 생각된다.
- 저자
- UNIGENE LAB INC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0
- 권(호)
- WO20100085700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29
- 분석자
- 신*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