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내 티로신 키나제, PTK6(protein tyrosine kinase6)의 더 높은 이해의 정립
- 전문가 제언
-
○ PTK6은 종종 유방암 카나제(breast tumor kinase,BRK)라고 하는데, 진화적으로 SRC 계에 속하는 특수한 키나제에 속한다. 정상 유방세포에는 발현이 되지 않으나, 인간의 유방선 암에서 상당 부문 발견되었다. 유방암 세포에서 PTK6은 성장요소 신호와 세포 이동을 촉진하고 PTK6의 발현은 난소암과 대장암과 같은 상피암세포에서 증가하였다. 정상세포에서도 다양하게 발현되는데 특히 장, 피부와 전립선 세포의 솔기등에 발현되어 세포주기를 나와서 분화를 유도한다. .
○ 그러나 세포내에 있는 PTK6의 기능은 아직도 잘 이해가 되지 않은 부분이 많다. PTK6과 연관되어 있는 FRK는 분화, AKT의 규제, 성장 규제와 예정사와 관련이 있고, 핵의 이동등 많이 연구된 SRC계의 키나제와는 상당히 다른 면이 있다. PTK6이 AKT 신호를 조절하는 것은 복잡하고 이런 세포의 환경, PTK의 기질과 그의 위치와 관련된 단백질 등이 어떻게 PTK의 활성도와 이동 조절등과 같은 더 많은 연구가를 하여 어떤 조건에서 활성화 되는를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 PTK6의 기질과 제휴 단백질의 절반 이상이 최근 2년 동안에 발견이 되었고, 이런 것 들은 세포의 증식과 이동을 규제한다. 이런 작용이 어떻게 정상세포와 암세포의 달리 작용하는지를 규명하는 것은 PTK6을 암의 치료에 사용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예로서 침윤성 유방암에서 PTK6과 ErbB2 발현이 많이 되고, 이 경우 ErbB2의 항체와 PTK6의 억제제를 사용함으로서 유방암의 치료를 도울 수가 있다.
○ 더 많은 역학조사와 동물시험을 통하여 PTK6이 상피암세포의 개시와 진행에 얼마나 기여하고, 또한 정상과 암 세포에서 PTK6과 다른 신호 통로 간에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것이 암세포의 치료에 매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다.
- 저자
- P.M. Brauer, A.L. Tyner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1806
- 잡지명
-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Reviews on Cancer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66~73
- 분석자
- 정*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