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지속가능한 자원이용과 도시광산

전문가 제언
○ 도시 광산은 첨단산업이 발전되고 그에 소요되는 희소금속이 일정기간을 경과하여 스크랩으로 배출되면서 이웃 일본에서 붙여진 명칭이다. 도시 광산은 천연자원의 추출이 아니라 폐 금속자원의 재사용이라는 점에서 자원절약과 환경친화성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본 보고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각종 희소금속이 투입된 가전 및 IT제품은 개인이 보유하거나 수출된 것들을 파악할 수 없으므로 금속흐름과 축적퍼텐셜의 데이터가 불완전한 상태이다. 이는 우리나라도 같은 상황이므로 모든 가전, 폐차 및 IT제품 메이커와 판매 업소는 관련 통계 및 폐기제품의 회수에 솔선수범하는 자세가 요구된다.

○ 해외 주요국들은 이미 천연자원의 사용 대신 도시 광산 자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즉 일본, 벨기에, 독일 등 도시 광산 선진국들이 더 많은 폐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전 세계 금속 수집네트워크를 확장하는 데 주력하고 있는 것은 우리에게 타산지석이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현재 우리나라의 폐 금속자원 수집과 유통 면을 보면 알루미늄과 귀금속이 함유된 일부 IT제품에는 수집과 재활용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으나, 기타 가전제품은 배출비용과 소비자들의 재활용 의지가 결여되어 있고 운반과 저류장의 부족으로 침체현상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것은 우선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 협력 체제를 강화하여 주민들의 참여를 계도할 필요가 있다.

○ 최근 우리 정부는 배터리와 휴대폰 및 노트북 등에 이용되고 경량화에 획기적인 성과를 가져올 리튬을 개발하기 위해서 볼리비아와 협상을 성사시켜 유리한 고지를 점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계는 자원의 선점이 국익과 직결된다고 보기 때문에 모든 나라가 자원확보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자원의 확보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도시 광산과 같은 폐 금속자원 리사이클링의 시스템화가 병행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저자
Kohmei Halad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10(4)
잡지명
未來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8~26
분석자
신*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