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디지털어젠다
- 전문가 제언
-
○ 이 글은 “유럽의 디지털어젠다”를 주제로 하여 몇 가지 논점, 디지털어젠다의 주요 행동조치, 실행과 거버넌스, 결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초고속인터넷과 상호 호환적인 애플리케이션을 토대로 디지털 단일시장으로부터 지속가능한 경제사회 편익을 창출함으로써 유럽을 지식·기술기반적이고 지속가능한 포괄적인 성장의 원동력이 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 유럽 집행위원회는 유럽의 경제성장에 기여하고 사회전반에 다양한 편익을 제공하기 위해 유럽 2020전략의 주요 추진계획 중 하나로서 유럽의 디지털어젠다(이하 디지털어젠다)를 발표하였는데 그 주요내용은 디지털 단일시장, 상호 호환성과 표준, 인터넷신뢰와 보안, 초고속인터넷접근성, 연구·혁신, 디지털숙련도 및 지식과 사회적 통합,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유럽사회적 편익, 디지털어젠다의 국제적 측면이다.
○ 유럽 집행위원회는 정보통신기술을 더 폭넓고 현명하게 이용하여 일자리를 창출하고 경제번영을 도모하며 유럽인의 삶을 개선시키는 것을 디지털어젠다의 핵심목표로 한다. 디지털어젠다는 광대역서비스를 확대하고 국가 간 콘텐츠와 서비스의 자유로운 유통을 촉진한다는 측면에서 유럽의 통신 산업과 미디어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며 온라인서비스 활성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 미국이나 아시아국가에 비해 뒤지고 있는 디지털사업 환경을 개선하여 관련 유럽기업들이 미국 등지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 디지털어젠다는 유럽뿐만 아니라 정보통신기술 부문을 발전시키고자하는 모든 국가, 특히 우리나라에게도 참고가 될 만한 실행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 디지털산업은 우리나라의 핵심 성장주도산업으로서 그 생산 규모는 세계 4위이다. 앞으로 우리나라는 u비즈니스기반 조성에 중점을 두고 우수한 디지털인프라의 생산성을 높이면서 디지털콘텐츠산업의 발전을 유도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우리나라에서 디지털어젠다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국가전략 우선순위를 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EUROPEAN COMMISSIO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0
- 권(호)
- 245
- 잡지명
- EUROPEAN COMMISSION(repor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1~42
- 분석자
- 장*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