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의 농업 및 농촌비점원오염 평가 현황

전문가 제언
○ 산업의 발달과 토지이용의 고도화는 기존의 농도규제로는 하천의 수질 개선을 꾀할 수 없기에 하천수계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총량을 규제하기 위해 오염총량 관리제가 도입되었다. 그러나 이 제도의 성공적인 운용을 위해서는 비점오염물질의 발생이 많은 산업단지, 택지개발, 농경지 및 산지관리, 도로 및 주차장 건설 등 각종 개발사업의 사전 조정과 오염원의 원천처리가 필요하다.

○ 대부분의 경우 비점원은 폭우나 홍수 등으로 다량의 물이 유출될 때에 하천에 배출되게 되므로 오염원의 적체를 최대한 억제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9. 21 중부지방 홍수와 같은 물난리는 재산과 환경문제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일부 외국의 예와 같은 대형 지하공동을 이용한 저수시설 건설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비점원 중 비교적 큰 비중을 차지하는 오염원으로 알려진 도로 및 교량은 차량운행으로 인한 오염물질의 축적이 타 토지에 비해 심각하다. 도로의 오염물질은 유역 특성과 위치, 오염물질의 관리가 용이하여 사업진행이 무리 없이 추진되고 있다. 특히 도로에 배수성 포장을 시공할 경우 도로의 비점오염원과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국내에서도 타당성을 조사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국내의 환경전문기관의 보고에 의하면 강우 유출수 중의 오염입자를 대상으로 침전실험을 수행한 결과 12시간 저류로 60~90%의 고형물을 제거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대부분의 도시지역은 토지 확보가 어려우므로 강의 상류 혹은 지류에 저류지를 설치하여 오염원을 처리하는 것도 검토해 볼 문제이다.

○ 비점원 오염물질의 다량처리를 위한 시설의 중요성이 앞에서 기술되었고, 그에 수반한 중금속류 등의 유해물질의 침전분리도 중요시 되고 있다. 침전분리에는 강한 흡착력을 가진 저가의 흡착제가 필요하다. 최근에 농산 및 임산 폐자원을 이용한 흡착제 개발이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데, 우리나라가 이 부분을 선도하는 위치를 확보할 것을 기대한다.
저자
Edwin D. Ongley a,c, Zhang Xiaolan, Yu Taob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158
잡지명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159~1168
분석자
신*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