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가공을 위한 유화제의 시장동향
- 전문가 제언
-
○ 국내의 유화제시장은 2008년 총생산량이 5,500톤으로 정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신규용도 개척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주요 식품용유화제 제조업체는 일신웰스, (주)광일, 서도비엔아이(주) 등이 있다. 1960년대 말 이후부터 40년 동안 국내 생산업체는 크게 증가하지 않았으나 유화업체의 30년 이상 기술축적 결과로 해외 수출도 950톤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유화제는 대표적으로 글리세린과 지방산으로 제조되는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터로서 폴리글리지방산에스터 등 8개 물질이 있고 모노글리세라이드가 전체 수요의 90%를 차지하고 있고 아이스크림과 유제품의 유화제, 케이크의 기포제, 두부의 소포제 등 다양한 식품에서 사용된다. 자당지방산에스터는 친유성에서 친수성까지 다양하며 레시틴은 대두 및 달걀의 노른자에서 추출하여 저순도는 마가린에 고순도는 분말제품을 비롯해 효소처리, 효소분해, 면류나 제과 등에 이용된다.
○ 유화제나 안정제를 이용하여 미립자로 물에 분산시켜 만든 유화향료는 내열성과 물에의 용해성이 매우 좋아 향기의 보류효과와 미생물에 대한 경시적인 안정성이 있고 식품에 부드러운 자연의 풍미를 강조할 수 있어 청량음료, 빙과류, 제과 등에 이용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유화제의 일일 허용 기준치는 글리세린지방산에스터의 ADI는 0~125㎎/㎏, 자당지방산에스터는 0~30㎎/㎏,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 에스터는 0~20㎎/㎏, 폴리옥시 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터(폴리소르베이트류)는 0~25㎎/㎏으로 되어 있으나 사용량을 고려 시에 현실적으로 ADI를 초과 섭취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생각된다.
○ 국내의 유화업체들의 기술력이 세계 시장에서의 기술수준에 크게 떨어지지 않아 해외에의 수출전망은 밝은 편이며, 일부 품목 중 고도의 장치와 기술을 필요로 하는 제품은 수입을 하고 있으나 국내 기술개발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어 수입대체에 대한 전망도 밝을 것으로 기대가 된다.
- 저자
- Editorial Department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0
- 권(호)
- 45(8)
- 잡지명
- 食品と開發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33~38
- 분석자
- 신*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