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가반응성 B 림프구의 선택적 기능 억제

전문가 제언
○ 우리 몸의 면역계가 자신의 기관, 조직 또는 세포를 공격하여 발생되는 자가면역질환은 100종류 이상이 알려져 있다. 전신홍반성낭창 및 류마티스관절염을 비롯한 많은 종류의 자가면역질환의 발생과 진행 및 만성화에는 B 림프구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B-세포의 제거 또는 기능 억제 수단은 자가면역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

○ Rituximab는 키메라 단일클론항체(chimeric monoclonal antibody)의 일종으로 CD20+ B-세포와 특이적으로 반응하여 그 기능을 억제하는 작용을 갖고 있다. 자가면역질환에서 B-세포와 그에 의한 체액성 면역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B-세포의 적당한 조절, 특히 Rituximab와 같은 단일클론항체를 이용한 B-세포의 제거는 자가면역질환의 치료 수단으로 큰 잠재력을 갖고 있다.

○ 그러나 지금까지 개발되어 임상에 사용 중이거나 임상 시험 중에 있는 B 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대부분의 제제는 자가면역질환과 관련된 B 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억제할 수 없다. 따라서 이들 제제는 특이성의 결핍, 높은 독성, 다양한 부작용 등의 공통적인 결점을 갖고 있다. 최근에 이들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특정 질환과 연관된 B 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제제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 이와 같은 새로운 전략은 자연 상태에서 B 세포의 활성을 억제하는 생리학적 기전을 모방한 것이다. 이 전략은 특정 질병과 연관된 B 림프구의 표면에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저해성 수용체와 미리 선택된 항원 결합 특이성을 갖는 BCRs를 가교결합(cross-link)시킨 2중 또는 3중 특이성 키메라 항체의 이용에 기초하고 있다.

○ 낭창(lupus) 동물 모델을 사용한 시험에서 이들 키메라 항체는 질병 관련된 B 림프구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실제로 이들 항체는 IgG 자가항체의 생산을 감소시키고, 피부 병소의 발생을 방지하며, 생존기간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저자
Kalina A. Nikolova,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9
잡지명
Autoimmunit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775~779
분석자
김*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