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LCA할당과정에 따른 도로포장용 고로슬래그의 민감도분석

전문가 제언
○ 우리나라의 도시화 비율은 2005년에 이미 90%를 넘었으며, 세계 도시화 비율도 2007년에 50%를 넘었고 2020년에 65%를 전망하고 있다. 도시화에 따라 주택과 도로 등을 건설하기 위해 많은 골재가 필요하지만, 환경보전과 건설기술 향상으로 세계적으로 천연골재 사용은 줄고 순환골재, 슬래그골재 등 대용골재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 다행히 우리나라는 2004년부터 연간 발생하는 약 1600만 톤(고로슬래그 860만 톤 포함)의 철강슬래그 전량을 시멘트(41%), 도로 토목(55%) 및 규산질 비료 등에 재활용해 오고 있다.

○ 순환 골재는 천연골재보다 자원고갈성, 광화학적 오존생성의 환경영향이 각각 63%, 56%씩 감소하고, 슬래그 골재는 각 70%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다만 슬래그를 부산물로 간주하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 본문에서 고로슬래그를 전량 폐기물(H1)과 20%의 폐기물, 즉 80%의 부산물(H2)로 할당할 경우의 전과정평가(LCA) 결과에서, H2 경우가 H1 경우보다 지구온난화지수(GWP)는 60%, 산성화(AP)와 광화학적 오존생성(POCP)은 각 25%, 부영양화(EP)는 2배 증가하여 환경에 더 많은 영향을 주고, 에너지 소비도 2배 증가하여 고로슬래그 이용자에게 많은 부담을 주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 논란이 되고 있는 고로슬래그, 유황 등 산업공정에서 발생하는 활용가능 폐기물을 몇 %의 폐기물(또는 몇 %의 부산물)로 간주할 것인가는 LCA의 민감도 연구를 통해 결정해서 효과적인 재활용이 촉진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저자
Shahinaz Sayagh, Anne Ventur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54
잡지명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48~358
분석자
박*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