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임신 시의 혈당조절

전문가 제언
○ 임신성 당뇨병은 일부 여성들에게 임신 시에 나타나는 당뇨병 형태로서 임신여성에게 가장 일반적인 건강문제 중 하나이다. 임신 중에는 여러 가지 호르몬이 이용되므로 신체가 인슐린을 사용하기 어려워지게 되어 췌장이 더욱 많은 인슐린을 생산할 필요가 생긴다.

○ 대부분의 임신부에게는 별로 문제가 되지 않으나 췌장이 이러한 인슐린 요구량을 생산하기 힘든 여성에게서 임신성 당뇨병이 나타나게 된다. 임신성 당뇨병을 가진 대부분의 여성들은 출산 후에는 이 증상이 없어지지만 다음의 임신 시나 나이든 후에 당뇨병 위험이 훨씬 높아지게 된다.

○ 임신성 당뇨병을 가진 여성들에게 우려되는 것은 자신의 과잉의 포도당이 아기의 혈액에 들어감으로서 아기의 췌장에서 더 많은 인슐린을 만들게 되어 아기가 체중증가를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어 출산 등에서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

○ 더욱 심각한 것은 임신 중 당뇨치료약의 영향이다. 인슐린제제와는 달리 SU제제 등 일반적인 경구제제들은 태반통과성이 있어 태아의 선천기형이나 고 인슐린혈증, 저혈당의 보고가 일부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임신 중에는 경구 혈당강하제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 그러므로 가장 바람직한 것은 전문의의 지시에 따라 태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최소한의 약제와 함께 태아에 필요한 영양을 위해서도 지나친 식이요법은 금물이므로 식이요법과 함께 적절한 산모의 걷기운동 등을 결합한 혈당과 HbAc1수치의 조절이다. 아직 임신성 당뇨병환자에 대한 특별한 운동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있지 않고 식이요법도 산모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의학계와 영양학계에서 우리나라 여성 신체조건에 맞는 적절한 운동프로그램과 식이요법의 개발이 시급하리라 생각한다.
저자
Wakur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61(6)
잡지명
藥局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500~2505
분석자
백*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