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바이러스 상호작용에 대한 체계적 연구
- 전문가 제언
-
○ 바이러스가 숙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할 때에는 순수 분리 상태의 바이러스를 숙주 동물이나 세포배양 용액에 접종하여 연구한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바이러스 연구는 단일 바이러스를 접종한 상태에서 세포에 대한 병변이나 다른 반응에 대해서 연구해 오고 있다. 그러나 실제 자연 상태의 동물에서는 이렇게 단일 바이러스 감염만으로 된 경우는 오히려 희귀하며 대부분의 경우에는 다른 바이러스와 공동으로 감염된다.
○ 알려진 바와 같이 바이러스 연구는 다수 질병의 치료와 예방, 백신과 진단 기술 그리고 항바이러스제 개발과 같은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까지의 대부분의 바이러스 연구와는 다르게 숙주나 세포배양에서의 바이러스 상호 간의 작용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 본 레뷰에서는 현재까지 알려진 바이러스 상호 간의 작용에 대하여 문헌은 물론, 저자의 실험 결과를 소개하고 있다. 현재까지의 바이러스 연구는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한 숙주에의 영향에 대하여 수행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분야에의 연구만으로는 질병 유발 현상을 정확히 이해하기 어렵다.
○ 과거에 수행된 연구 방법과는 다르게 앞으로는 바이러스에 의한 병리현상을 규명하기 위해서 바이러스-바이러스 간의 상호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바이러스에 의한 숙주의 질병 특이성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된 바이러스 감염뿐만이 아니라 제2의 바이러스 감염에 대해서도 파악할 필요가 있다.
○ 동일 숙주에 대한 두 가지 이상의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상호 작용에 관한 파악은 특이 환자의 질병 해석에 있어 대단히 중요하다. 따라서 병원에서 환자의 바이러스 질병을 해석하는 데에 있어 바이러스 상호작용에 대한 개념의 도입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의 강화가 필요하다.
- 저자
- T. DaPalm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149(1)
- 잡지명
- Virus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9
- 분석자
- 신*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