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물방울에 의한 영상의 반짝임 제거법

전문가 제언
○ 카메라의 고급성 여부는 다양한 기능과 내구성능의 우수성과 더불어 고급 렌즈를 사용할 수 있느냐에 따라서 달라진다. 고급 렌즈라 함은 높은 해상력과 역광에서도 플레어나 고스트가 적고 높은 콘트라스트의 명료한 영상을 얻을 수 있느냐 하는 것이 관건이 된다.

○ 렌즈의 고해상력은 또한 각종 수차의 보정과도 깊은 관계가 있다. 색수차, 구면수차, 코마수차, 비점수차, 상면 만곡수차 등 렌즈의 5대 수차를 제거하기 위해 복합 다군 렌즈를 사용하는데, 렌즈 매수가 많아지면 광 투과율이 급격히 떨어져 반사방지 코팅은 오늘날 이미 필수사항이 되어버렸다.

○ 아무리 코팅이 잘 된 렌즈라 할지라도 강렬한 광이 렌즈에 바로 입사하면 플레어가 발생하고 고스트가 발생한다. 플레어와 고스트는 화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화질 퇴화의 원인이 된다. 본고에서는 렌즈 표면이나 보호 유리에 묻은 물방울로 인해 직사광이 강한 난반사를 일으킬 때 이를 LCD 광 셔터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LCD를 광 셔터로 이용한 연구는 아직 없었지만 촬상 소자에서의 불량화소 제거나 화이트 홀 제거 등에서 인근화소의 깨끗한 영상을 이미지 프로세서에서 디지털로 합산해서 처리하는, 이와 유사한 방법의 이미지 퇴화 저감방법이 사용되고 있고 촬영된 영상 역시 포토샵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응용처리가 가능하다.

○ 강렬한 태양 직사광의 입사로 렌즈 내부 반사에 의해 일어나는 플레어나 고스트 등은 렌즈 표면의 다층막 멀티코팅으로 제거하고 난반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편광 필터를 사용하기도 한다. LCD 광 셔터를 이용한 방법은 여러 장의 사진촬영을 해야 하고 LCD 자체의 어두운 광 투과율과 빠르지 못한 응답속도가 또한 문제가 되며 동영상에는 적합하지 않다. 앞으로의 연구에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Takenori Hara, Hideo Saito, Takeo Kanade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0
권(호)
64(3)
잡지명
映像情報メディア 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381~388
분석자
홍*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