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지르코늄합금에서의 수소화물 균열속도지연 모델의 열역학적 검토

전문가 제언
○본고는 이 논문 표제에 인용된 본 저자의 비판적 검토에 대한 Kim 원래의 논문에 주어진 Dutton-Puls모델의 DHC속도의 구동력에 관한 기본적으로 같은 물리학적 오해에 원인을 두고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저자의 Dutton-Puls모델에 대한 여러 가지 버전의 열역학적 정확성에 대한 방어에 더하여 Kim의 모델에 관한 저자의 이전 비평이 입증되었다.

○ 잘못된 열역학적 기초를 가진 것은 Kim의 DHC모델이라는 것과 그래서 DHC속도의 물리학적 이해를 뒷받침해줄 수 없다는 것을 저자가 보여주었다. 전에 내렸던 결론을 보다 더 분명히 하기 위하여, Dutton-Puls의 여러 가지 버전의 수학적 유도에 대한 상세한 단계를 제공하는 내용을 본 논평의 부록으로 첨부한다.

○ 본고의 Kim으로 지칭되는 김영석 등에 의해 한국원자력학회 2001년도에 “지르코늄합금의 Delayed Hidride Cracking에 관한 미해결 현상의 이해”라는 제목으로 게재되어 있다. 그 후 Manfred P. Puls에 대한 김영석 박사의 반박 논문이 산적되어있다.

- 지르코늄합금의 DHC현상을 일으키는 구동력은 크랙선단과 크랙선단에서 멀리 떨어진 지점에서의 응력구배로 알려졌으나, 응력집중세기에 무관하게 일정한 DHC속도, 가열과 냉각방식에 따른 DHC속도의 차이가 나타나는 현상을 아직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10℃에서 250℃로 냉각시킬 때, 과냉각의 정도를 0~40℃에 변화시킨 후 이것이 Zr-2.5Nb 합금에서의 DHC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아울러, 수소량에 따른 Zr-2.5Nb합금의 DHC속도를 조사하였다. Zr-2.5Nb압력관의 DHC속도는, 310℃에서 250℃로 냉각시킬 때 250℃에서의 과냉각크기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이를 크랙선단과 기타 지점에서의 TSSPT-TSSD250℃의 함수로 나타낸 결과, DHC속도는 수소농도차이의 지수함수 적으로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지르코늄합금의 DHC현상을 지배하는 주 구동력은 수소고용도 이력현상으로 나타나는 크랙선단과 크랙선단에서 멀리 떨어진 지점에서의 수소농도의 차이었다고 한다.

저자
M.P. Puls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0
권(호)
399
잡지명
Journal of Nuclear Materials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48~258
분석자
김*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