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암세포의 성장, 생존과 치료에서 에리드로포이에틴과 그 수용체의 역할
- 전문가 제언
-
○ 암 치료에 있어서 rsEPO와 다른 ESAs의 역할에 대한 축적된 증거로 임상 의사, 기초 연구자와 규제자 간에 재평가를 할 필요가 있다. 초기에 환자에게 rhEPO를 사용했던 근거는 정확하지가 않다. 암세포를 포함한 비적혈구 세포에서 EPO/EPOR 축의 기능은 예측하기 어렵고 부작용 등 그 결과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 이런 문제를 단순히 암 치료에서 ESAs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해결하는 것은 이르고 현명하지 못하다. 미국 암연구소와 건강기관은 ESAs와 암에 대한 워크샤프를 열고 단순히 빈혈 치료보다 ESAs의 안전과 효과에 대한 중요한 기초적인 문제를 해결해야 된다고 결론지었다. 순도가 높은 시약과 적합한 전임상 모델이 있어야 연구자가 이런 문제에 대한 연구를 할 수가 있다. 장래 연구는 세포나 인체에서 실제로 환자에 있는 ESAs의 농도로 실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기능적 EPO 축(자체, 인접 세포)과 구성 EPOR 활성 등이 모순이 있고 내부 EPO/EPOR과 외부 rhEPO의 기여도 등에 데이터가 없는 것도 문제이다. 암세포에 특별한 EPOR나 EPO이 있을 가능성과 아이소형태, rhEPO를 치료로 사용하였을 때 길항이나 상승하는 분자를 찾는 것도 앞으로 할 일이다. 외부에서 ESAs를 주었을 때 세포 예정사와 항예정사 요소는 변경되고 내부의 균형은 어떻게 변하는 등도 앞으로 명확히 가려야 할 것이다.
○ 장래 연구는 DNA와 단백질 마이크로어래이를 이용하여 유전자의 전산, 번역과 후번역의 활동을 조사하여 항암제와 EPO에 의한 신호전달의 혼선을 해독하는 결정적 역할을 해야 한다. 분자간의 역할을 해독하는 능력은 우리가 제대로 rhEPO와 다른 ESAs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암환자를 다루는 데 도움이 되고 암과 관련된 빈혈에 대비한 새로운 치료약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앞으로 더 명확한 연구를 하고 여러 조건에 따른 신호전달을 규명하는 것이 요구된다.
- 저자
- Szenajch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1806
- 잡지명
-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Reviews on Cancer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82~95
- 분석자
- 정*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