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의 석유 소비량, 1990-2008년

전문가 제언
○ 세계 각국은 기후변화를 완화시키기 위한 온실가스 감축대책을 위해, 또한 향후 40년 정도로 예상되고 있는 석유자원의 고갈에 대비하기 위해 석유수요를 감소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세계 최대의 에너지 소비국이고 또한 이산화탄소 배출국인 중국의 경우도 석유수요를 감소하기 위한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세계 최대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는 중국은 1993년부터 석유 수입국 대열에 합류하였으며, 특히 급속한 경제 발전과 생활수준 향상으로 석유 수입량이 급증하고 있어 중국의 석유정책은 세계 원유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중국은 석유 소비량의 70% 이상을 산업부문에서 소비하고 있는데, 산업 발전에 따라 에너지 소비량이 급증하고 있어 이를 줄이려는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중국은 경제 발전과 고용 증대를 위해 친자동차정책(pro-auto policy)을 시행하고 있어 자가용을 포함한 자동차 보유대수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항공 및 도로 수송량이 대폭 증가하고 있어 수송부문의 에너지 소비량 증가이 급증하고 있는 것도 문제이다.

○ 특히 중국은 수송부문 에너지 소비량의 90% 이상을 석유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국가의 에너지 공급안보 측면에서 큰 문제점이 되고 있으며, 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대책이 국가적 과제가 되고 있다.

○ 우리나라의 산업부문 에너지 수요는 전체 최종에너지 수요의 50% 수준으로 중국보다는 낮지만 다른 선진국에 비해서는 높은 수준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에너지 집약형 산업을 줄이는 등의 산업부문 에너지대책, 특히 석유 소비량 감소를 위한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 중국이나 우리나라는 경제 발전과 생활수준 향상으로 고급에너지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정체 석유와 전력 소비량이 급증하고 있다. 재생에너지나 원자력 등의 대체에너지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먼저 재생에너지 개발의 비용 분담이나 원자력에 대한 사회적 합의 등을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
Guy C.K. Leung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38
잡지명
Energy Polic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932~944
분석자
신*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