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폐식용유로 바이오디젤 생산

전문가 제언
○ 우리나라에서 폐식용유로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기술개발은 2,000년부터 21C 뉴프런티어 사업으로 추진되었으며, 이 사업실행은 KIER 바이오매스센터와 기업이 공동으로 개발하여 일일 100톤 규모의 공장을 완성함으로써 상업적인 기반으로 올려놓았다. 이 기술은 선진국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현재 바이오디젤 생산원료로 식용유를 사용할 경우에는 경제성이 없다.

○ 2008년 전 세계 식용오일 및 지방 생산량은 약 154백만 톤이다. 이 오일 대부분은 튀김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폐유를 미처리 시 심각한 수질 오염문제를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단지 수질오염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인류생존에도 유해영향을 미치게 된다. 실제 EU에서는 튀김 프로세스에서 발생된 폐유를 처리하여 동물사료로 이용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 미생물 분해성이면서 재생 가능한 에너지 형태의 바이오디젤은 식물오일이나 동물지방과 같은 자원으로부터 유도된 지방산 모노알킬에스테르를 함유하고 있다. 이는 대체연료로서 매우 중요한 잠재력을 갖고 있으며, 식물오일은 1911년 Rudolph Diesel에 의해 개발되어 처음으로 디젤연료로 사용되었다.

○ 바이오디젤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동질 촉매의 사용으로 불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은 트랜스-에스테르화 반응에 대한 새로운 고체촉매 합성과 개발을 하도록 하였다. Bournay 등은 새로운 상업적 연속 바이오디젤 생산 프로세스를 개발하였는데 거기에는 아연 산화물과 알루미늄으로 구성된 고체촉매가 사용되었다.

○ 본고에서는 동질의 알칼리성 촉매로는 폐식용유의 높은 FFA 함량 때문에 에스테르교환반응을 효율적으로 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았다. 반면에 동질의 산 촉매 사용 시는 긴 반응시간이 소요되고 장치부식을 일으켰다. 그리고 이질촉매 연구에서는 산·알칼리 타입에 관계없이 촉매활성 손실 시 재생할 수 있어 유익한 촉매임이 확인되었다.
저자
Man Kee Lam, Keat Teong Lee, Abdul Rahman Mohamed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28
잡지명
Biotechnology Advance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500~518
분석자
홍*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