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출규제로 팜 오일 폐기물처리 오염방지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는 팜 오일 자원이 없어 폐식용유로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기술은 2,000년부터 21C 뉴프론티어 사업으로 추진하였으며, 이 사업 실행은 KIER 바이오매스 센터와 기업이 공동으로 개발하여 일일 100톤 규모의 플랜트를 완성함으로써 상업적인 기반으로 올려놓았고, 이 기술은 선진국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다.
○ 2006년 아프리카 개발 은행 보고에 의하면 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해 경작할 수 있는 수많은 오일 작물 가운데 각국의 기후조건에 맞는 곡물을 베이스로 검토한 결과 가나는 팜 오일, 탄자니아는 Jatropa, 케냐에서는 아주까리가 유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경제성 분석에서 바이오디젤 플랜트 수명을 15년 이상으로 보고 5%, 9% 및 12%의 할인율을 적용하게 되면 바이오디젤 생산 비용 수준은 $0.40~0.70/ℓ범위로 된다.
○ 바이오디젤 원료비용이 총 비용의 75%를 초과하는 것으로 산출되고 있어 최종 운영을 결정하는 지배적인 인자로 된다. 예로서 $160/톤의 팜 씨 가격으로 가나에서 생산할 경우 바이오디젤의 총 연간 운전비용은 약 $112.6×106이다. 이의 총액에서 팜 오일 가격비용이 85%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공급원료 가격이 운영의 결정적인 요인이 된다.
○ 최근 혐기성 혼합기술에 대한 관심은 단일 반응기 속에서 다른 혐기 시스템의 조립으로 안정적인 프로세스 효율을 유지하면서 유용한 에너지를 회수하는 데 있다. UASSF(up-flow anaerobic sludge fixed film) 반응기는 혐기성 혼합반응기로서 UASB 반응기와 고정화 셀 및 고정필름 반응기를 조합한 것으로 관심을 끌고 있다.
○ 본고에서는 청정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POME 관리 문제를 심도 있게 다룰 수 없었기에 앞으로 지속적인 산업개발을 위해 치밀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결과적으로 end-of-pipe 프로세스에 대한 POME의 관리 선택 측면에서 팜 오일 밀 규모와 경제적 설치, 운전 및 유지설비와 같은 처리효율 향상 인자에 대해서는 직접 및 간접적인 정부 지원이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 저자
- Ta Yeong Wu, et.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91
- 잡지명
-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467~1490
- 분석자
- 홍*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