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재료과학과 센서의 혁신

전문가 제언
○ 지난 10년 간 멀리 떨어져 있는 장소의 환경 조건을 장기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화학 센서 디바이스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시도가 가능해진 것은 임의의 사용 장소에서 아무런 구애를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통신기술과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등장으로 가능하게 되었다.

○ 장기적으로 원격 장소의 환경의 신뢰할 수 있는 측정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측정 장소에 위치한 센싱 장치와 신호를 받는 통신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동력의 문제 등을 해결해야 하는데 디바이스의 대형화나 무선 네트워크의 문제는 트랜스듀서를 사용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장기간에 걸쳐 계속 신뢰할 만한 자료를 얻을 수 있는가 여부에 관련하여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는데 바이오/화학 센서의 경우 센싱 표면이 직접 시료와 접촉해야 하는데 사용 시간이 증가하면 바이오 파울링이 일어나며 이에 의해 센싱부의 감도, 기선, 선택성 등의 응답 특성이 변하고 끝내는 장치 전체가 기능을 잃어버리게 된다.

○ 이러한 문제는 센싱부가 직접 시료와 접촉하지 않고 마이크로 흐름 디바이스를 통하여 공급된 시료를 측정하는 방법을 택하여 해결할 수 있다. 현재의 마이크로 흐름 디바이스는 분석법의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유연하고 치밀한 계획 하에 사용이 편리하며 신뢰성을 가지는 자료를 저렴한 가격으로 획득이 가능하게 되었다.

○ 마이크로 흐름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화학 센싱은 마이크로 흐름 디바이스 내의 흐름을 조절하는 펌프와 밸브, 유량의 제어, 분석대상 분자의 흡착과 탈착, 장기적인 효율성, 신뢰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자극응답성 재료를 조합하여 완성된다.

○ 본고에서는 장기적으로 안정한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센서 디바이스의 구축에 관련된 재료 및 장치에 대한 기초적 사항을 소개하고 있어 앞으로 발전이 기대되는 센서분야의 연구자에게 재료 과학적 관점에서 센서 개발에 관련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저자
Robert Byrne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13(7)
잡지명
Materials Toda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6~23
분석자
마*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